웹 접속 능력의 향상(Improving Web accessibility)
- 전문가 제언
-
□ 웹서비스의 보편화로 웹접속이 가능한 현대인은 많은 정보를 손쉽게 얻고 있는 반면, IT 장애자들은 정보 취득에서부터 정상인들에게 뒤쳐져서 사회에서 격리감을 더욱 크게 느끼게 된다. 더욱이 최근 의술의 발전으로 장애 출산아들의 생존율이 높아지고 노년층의 인구도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IT 장애자 수도 급증하는 추세라, 장애자들이 웹접속을 쉽게 하도록 해 주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 몇몇 선진국들에서는 “웹접속 선도법”과 같은 법이 제정되어, 장애자들에게 웹사이트를 통한 정보 획득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지침들이 제시되어 있으며, 접속성 점검 목록 등도 안내되고 있다. 기업체들도 보다 많은 이용자 확보와 구매력 향상 차원에서 웹사이트에의 접속을 쉽게 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장애자들을 위한 이러한 시도에는 추가 비용이 상당히 소요되고, 또한 급변하는 IT 환경에 따라 지속적으로 맞추어 가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 특히 웹서비스의 환경도 새롭게 발전되는 IT 인프라에 따른 통합과 보완 과정을 거치고 있어, 이들에 대응하는 웹접속의 능력도 변천하게 된다. 막강한 I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 환경에서 웹서비스 기업들은 보다 많은 고객 확보와 이용의 편의성 제공을 위해 관련 기술의 개발을 선도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Loiacono, E.T.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3
- 권(호)
- 36(1)
- 잡지명
- Computer (US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17~136
- 분석자
- 박*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