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 시대의 독서장애인들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A word in your ear: library services for print disabled readers in the digital age)

전문가 제언
□ 유네스코의 학습권 선언은 읽는 것과 쓰는 것을 생존에 있어서의 불가결한 수단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디지털 도서관이 도입되고 인터넷을 통하여 엄청난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는 오늘날의 정보화시대는 오히려 시각장애인들에 대한 정보격차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 여기서는 뉴질랜드 시각장애인의 독서활성화에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왕립시각장애인재단(RNZFB)과 독서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현황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뉴질랜드의 DAISY 토킹북 개발현황 및 이용활성화 노력을 밝히고 있다. RNZFB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독서장애인의 독서경험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DAISY 토킹북의 배포방법을 강구하고 시각장애인들에게 광범위한 읽을거리를 만들어주기 위해 지역별 또는 국제간 협력을 추구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1969년에 한국점자도서관이 설립되었지만, 실제로 점자도서관에 대한 필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로 평가된다. 그 이후에 전국 곳곳에 크고 작은 점자도서관이 개관되었고, 공공도서관 내에도 장애인 열람실이 급증하게 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제도상으로나 내용상으로 큰 변화 없이 양적인 증가만 이루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06년에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 총회를 앞두고 우리나라의 정부도 도서관 발전과 장애인들을 위한 독서환경 조성에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 그러나 세계는 한발 앞서 나가며, “시각장애인과 독서장애인에게 같은 시간에, 같은 자료를, 그들이 이용 가능한 형태로, 특별한 이용료 없이 이용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천명하고 있으며 그러한 방향으로 노력하고 있다. 점자도서나 녹음도서는 상용화되기가 어렵고, 그 제작기술도 많은 경험을 요하는 것이며, 또한 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개발도 많은 경험과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독서장애인을 위한 독서활성화 대책은 단기간에 이루어지기가 매우 어려운 일로 평가된다. 뉴질랜드는 장애인 복지정책의 선진국이며, 여기서의 이와 같은 자료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독서활성화 대책의 참고자료로서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Morgan, G.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3
권(호)
21(3)
잡지명
Electron. Libr. (UK)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234~243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