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 전문가와 이해 상충(Information systems professionals and conflict of interest)
- 전문가 제언
-
□ IT 전문가가 가진 기술 및 지식과 같은 무형의 자산은 고용주 또는 고객의 이해와의 상충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많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이해 상충은 법정으로까지 비화할 수 있는 문제이므로 사전에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이해 상충의 7가지 유형을 참조하면 고용주와 고용자 모두에게 사전에 피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 고용주 입장에서 IT전문가는 회사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직원일 수 있다. 고용자를 감시할 필요까지는 없으나 회사의 기밀 유지, 회사 자산의 유출방지, 직위 남용의 예방, 외부 유혹에 대처할 방안 등에 대하여 대책을 수립하고 이해 상충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가져서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 고용자 입장에서 IT 전문가는 회사의 이해와 개인적 이해 사이에 선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업무 중 취득한 정보와 기술에 대하여 스스로 전문가적인 양심을 지켜 투명한 일 처리로 회사에 손해를 끼치는 이해 상충의 상황을 피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해 상충에 도를 넘어 컴퓨터 범죄와 같은 사건으로 비화될 가능성에 대하여 조심하기를 권고한다.
- 저자
- Grupe, F.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3
- 권(호)
- 11(1)
- 잡지명
- Inf. Manage. Comput. Secur. (UK)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8~32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