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에 등장하는 사서(Ad lib: the advertised librarian)
- 전문가 제언
-
□ 사회문화의 한 부분으로서 광고문화는 일반 대중의 삶과 의식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러한 광고에 나타나는 사서의 이미지를 통하여 도서관과 사서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파악할 수 있다.
□ 광고를 분석하면 광고에 등장하는 사람과 직업, 직업의 이미지 그리고 그들 사이의 관계를 알 수 있으며, 따라서 광고에 등장하는 사서들을 분석함으로써 동시대의 사서에 관한 많은 것들을 이해할 수 있다. 사서에 대한 이미지는 어떤 전문분야에 대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으로 인식되어왔는데, 여기서는 그러한 이미지가 어디서 왔으며, 어떤 의미를 나타내고 있고, 광고에서 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전통적인 사서의 모습은, 1800년대에는 안경을 낀 소심한 남성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1900년대에는 머리를 묶은 뚱뚱한 노처녀가 끊임없이 이용자들에게 정숙을 요구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왔다. 이러한 이미지는 19세기에서 20세기로 들어서며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사회가 변화되면서 형성되었고, 인쇄, 사진 및 영상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널리 확산된 이미지이며, 초창기의 광고들이 이미지 형성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9세기의 사서에 대한 이미지는 지금까지도 남아있으며, 그러한 전통적인 사서의 이미지는 21세기 정보화시대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정보전문가로서의 이미지와는 어울리지 않는 모습이다.
□ 1990년대 말에 미국도서관협회는 도서관의 사서들은 노처녀나 나이든 여자로 그려지지 않아야 하며 통상적으로 남성사서들은 나비넥타이를 매고 있지 않는 현실을 반영해야 하고, 여성사서들을 과장된 가슴이나 커다란 엉덩이 및 말없는 폐병환자로 묘사하지 않아야 함을 천명하고 있다. 우리 사회도 대부분의 사서들이 여성이고 사서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미국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앞으로의 사회는 정보전문가의 역할과 활약이 기대되는 시대이고, 따라서 역동적인 사서의 이미지가 구축될 수 있도록 우리 사회의 노력이 요망된다.
- 저자
- Tobias, J.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3
- 권(호)
- 7(2)
- 잡지명
- Inf. Outlook (US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2~18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