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적 영상 필터링 시스템 사례(K-DIME - an affective image filtering system)
- 전문가 제언
-
□ 정보 검색은 제목이나 내용에 대한 색인어를 검색하는 것이 기본이다. 색인어 검색이나 내용 검색은 텍스트, 즉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검색이다. 이에 반하여 인터넷상의 자료는 텍스트와 더불어 음악, 이미지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가 넘쳐나고 있다.
□ 따라서 소리에 대한 검색, 음악에 대한 검색, 이미지에 대한 검색 등의 경우에는 텍스트 기반의 검색과는 차별화되거나 선진적인 검색 기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자료에 대한 검색이 가능한 시스템 중의 하나가 K-DIME(Kansei Distributed Information Management Environment)이며, 이 시스템은 이미지에 대한 감성적 의미에 기준으로 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 즉, 컴퓨터 이용자가 며칠 머물면서 휴양하고자 우아하고 아늑한 분위기의 호텔을 홈페이지에서 찾으려 할 때, 검색된 홈페이지들에 소개된 수많은 호텔들의 영상을 보면서, 그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호텔을 고르는 절차에 대해 처음 이용자들은 적지 않게 당황한다. 이와 같은 경우 홈페이지들에 나타난 정보에서 원하는 것을 추려내기 위한 감성적 기준들을 이용자가 하나하나 만들어 가면서, 이를 적용하여 검색하고 관리할 수 있다.
□ K-DIME의 실세계 응용성을 시험하기 위해, 호텔 검색 시스템 PHRS (Personalized Hotel Retrieval System)을 구축하여 적용해본 결과는 K-DIME의 구조가 대체로 타당하였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영상을 인지하는 과정에서의 가변성이라든가, 같은 단어가 문맥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의 문제점들, 언어 사용에서 시간에 따른 일관성 유지라든가 인지 처리를 구체화해야 할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다.
□ 이제 인터넷에 의한 정보의 홍수 시대에 홈페이지 검색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는 일이 많은 사람들에게 점차 다반사가 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아직 멀티미디 자료에 대한 검색 기법의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또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생각할 때 에이전트 혹은 브로커(broker) 등과 같은 관련 기술 분야의 연구와 개발도 진전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Bianchi-Berthouze, 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3
- 권(호)
- 10(3)
- 잡지명
- IEEE Multimedia (US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03~109
- 분석자
- 박*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