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R의 참고분석(Reference analysis of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 전문가 제언
-
□ 인용(citation)이란 다른 저자의 논문이나 논고, 자료 또는 구술을 차용하여 논술하는 것을 말한다. 학술잡지에 실린 과학논문에서 이와 같은 의미의 인용이 처음으로 시도된 것은 1850년 전후였으며, 1960년대에 계량서지학의 탄생을 주도했던 Price와 과학사회학자인 Merton에 의해 인용이 선행연구와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증거이고, 저자들은 인용을 통하여 선행연구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게 된다는 견해가 대두되면서, 인용을 통한 분석이 연구자, 학술기관, 출판물 등의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 SCI 및 SCIE에 등재된 저널에 수록된 논문수로 국가 및 기관간의 연구 수준을 비교하고 또한 연구비의 지원 여부나 지원 금액을 결정하는 이유는 등재 저널이 전문가의 평가나 학술지의 기준준수 여부 및 인용 자료의 내용 등을 기준으로 엄격하게 선정되기 때문이다. 계량서지학의 한 분과인 참고분석(reference analysis, 또는 인용 분석)도 위와 같은 이유로 특정 분야의 문헌들에 인용된 참고문헌들을 분석하여 그 분야의 특성을 도출해내는 연구방법이 되고 있다.
□ 여기서는 미국역사협회의 잡지인 American Historical Review(AHR)지에 수록된 논문들이 인용한 참고문헌들을 분석함으로써 역사분야의 참고문헌 인용패턴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1950년, 1970년, 1990년 및 2002년에 발간된 AHR지를 각기 하나씩 선정하여 총 참고문헌 수, 인용문헌의 나이, 인용문헌의 언어, 인용문헌의 형태, 인용문헌별 저자의 수 등을 분석하고 시대에 따라 역사분야 연구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파악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역사분야 참고분석연구는 1차 및 2차 참고문헌들을 구분하고 또한 주제별로 분석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 오늘날 참고분석은 새로운 측정방법이 발견되고 분석도구와 분석단위가 다양해지면서 크게 발전하고 있는데, 한편으로는 과학연구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이 그러한 발전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 그동안 역사분야에서는 참고분석이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었지만 앞으로는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 자료는 역사분야에 대한 하나의 연구방법으로서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고 사료된다.
- 저자
- Lowe, M.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3
- 권(호)
- 22(1)
- 잡지명
- Collect. Build. (UK)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3~20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