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을 넘어서: TEI 및 전자도서관, 그리고 전자책의 혁신(Beyond the Web: TEI, the digital library, and the Ebook revolution)
- 전문가 제언
-
□ 전자책은 디지털화의 장점들 즉, 다양한 정보기술을 활용할 수 있고 저장과 관리가 용이하며 인쇄나 유통 등이 단순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2005년의 경우에는 그 시장규모가 23억$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세계 각국은 자국의 환경에 적합한 전자책 표준을 발표하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의 경우는 1999년에 전자책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전자책의 배포와 출력을 위한 OEB PS(Open EBook Publication Structure Specification)를 발표한 바 있다.
□ 여기서는 미국 Virginia대학의 전자텍스트센터(Etext Center)가 TEI 텍스트를 OEB로 변환하여 가독성이 향상된 전자책 생산기술을 소개하면서 전자책에 대한 현재기술의 한계와 앞으로의 바람직한 문서변환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새로운 포맷의 전자책 장서에 대한 전자도서관 이용자들의 반응을 분석하고,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여 전자책만을 학습 자료로 하는 2개의 시험교실을 운영한 결과를 분석하고 전자책 교실의 장단점을 요약하고 있다.
□ 전자책 표준에 대해서는 일본도 1999년에 전자출판협회(JEPA)를 중심으로 전자책의 저장과 교환을 위한 JepaX를 발표하였으며, 우리나라도 2001년 5월에 한국전자책 컨소시엄에서 EBKS(Electronic Book of Korea Standard)를 발표하였다.
□ 미국과 일본 및 우리나라의 전자책 표준들은 모두 XML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각기 자국의 환경에 적합하게 컨텐츠 구조를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각 표준 간에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상호간에 전자책 컨텐츠의 변환이 어려운 요인이 되고 있다. 이 자료는 미국의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지만, 전자책의 성공 관건으로서 가독성과 이식성이 함께 향상되는 전자책 기술을 다루고 있고, 특히 전자책 장서의 이용통계 및 전자책 시험교실과 같은 새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관련 분야에서도 참고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Gibson, M.; Ruotolo, 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3
- 권(호)
- 37(1)
- 잡지명
- Comput. Humanit. (Netherlan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7~63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