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rints와 OAI(E-prints and the Open Archives Initiative)
- 전문가 제언
-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최근의 전자도서관은 다양한 정보자원의 통합을 강조하고 있는데, 연구자들도 자신의 연구결과를 직접 인터넷에 올려 연구 자료를 공유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점차 강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개방접속의 전자저널 출판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학술 논문을 발표하기에 앞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 같은 방법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결과적으로 원거리에 분산된 복수의 e-prints 저장소들의 접근이 보장되는 개방형 전자도서관 모델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는 OAI(Open Archives Initiative) 개념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 OAI는 e-print 저장소들 사이의 상호운용성을 활성화시킬 실용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여기서는 OAI e-print 저장소에 대한 현황과 OAI-PMH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저장소들의 메타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간략한 조사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또한 학술계의 커뮤니케이션 향상을 위한 방편으로서 e-print 아카이브들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메타데이터 수집(harvesting)을 이용하고 있는 현황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 권위 있는 학술지에 게재해야만 학문적 인증을 받기 쉬운 상황에서 그러한 학술지들의 구독료가 지속적으로 인상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계속해서 구독해야 하는 도서관이나 학자들에게는 큰 부담이 되고 있으며 전자출판을 기반으로 하는 개방형 전자도서관 추진의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 온라인 학술지는 아직까지 학문적 권위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지만, 저작권을 존중하면서도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있고 또한 적절한 상호심사도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학술정보의 신속한 유통과 무료로 개방된다는 커다란 장점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미국이나 영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우선적으로 정부지원의 연구결과물을 공유하기 위한 법제정이 추진되고 있다.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도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KISTI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바, 여기서의 이와 같은 자료는 전자출판과 개방형 전자도서관에 대한 일부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 저자
- Warner, 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3
- 권(호)
- 21(2)
- 잡지명
- Libr. Hi Tech (UK)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51~159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