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보 격차 - 세계적 및 국가적 조치 요청(The digital divide: a global and national call to action)

전문가 제언
□ 정보 격차란 디지털 경제에 의한 계층간 불균형을 지칭하는 말로, 새로운 정보 통신 기술(ICT)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사이에 경제적, 사회적 격차가 심화되는 현상을 뜻한다. 이는 1990년대 중반 미국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로, 디지털 경제 시대의 경제 · 사회적 불균형 측면을 강조한 개념으로 정립되었다. 정보 접근은 새로운 정보 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 여건을, 정보 이용은 정보 기술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획득, 가공, 처리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 전 클린턴(Clinton) 미국 대통령이 2000년에 서명한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제안서’는 모든 미국인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전화와 같은 보편적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세계 곳곳의 아주 열악한 사회 환경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은 전통적인 교육을 향상시키고, 건강 관리, 축산과 농작물 관리 등을 증진시킬 기초적 기술들의 보급과 아울러 정보 이용 환경의 개선에 달려있다고 판단된다.

□ 국내에서도 최근 지식과 정보 습득이 용이한 고소득층과 상대적으로 열악한 저소득층 사이의 정보 격차가 결과적으로 소득 격차를 심화시키리라 우려되고 있다. 한국문화진흥원의 2003년도 조사 자료에서는 저학력, 저소득, 1세대 단독 거주 장 · 노년층의 컴퓨터 이용률은 전체 국민에 비해 심각하게 낮은 수준으로, 장 · 노년층의 이중 정보 격차(dual digital divide)가 심각했다. 이러한 추세를 해소하고 디지털 평등 사회 구축을 위한 여러 가지 대책들이 정부에서 마련되고 있다.

□ 정부는 정보격차해소사업에 정보통신부, 교육인적자원부, 행정자치부 등 12개 부처에서 총 3,047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으며, 정보통신부는 2000년에 읍 단위까지 초고속 통신망을 구축했고, 저소득층 학생 5만 명에게 컴퓨터를 무상으로 공급하여 5년간 인터넷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저자
Cullen, R.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3
권(호)
21(3)
잡지명
Electron. Libr. (UK)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47~257
분석자
박*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