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시설계획: 설계자문가의 견해(Library facility planning - the consultants view: a chat with Andrea Michaels)
- 전문가 제언
-
□ 정보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도서관은 첨단기술의 발전현황을 파악하여 가능한 기술을 지속적으로 적용해나가야만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에는 커다란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정보센터 및 전자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도서관 선진국인 미국이나 일본 등에서는 기존 도서관들에 대한 기능과 시설에 대한 재평가를 통하여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고 기존 시설을 개조하거나 증설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여기서는 미국 Michaels Associates Design Consultants사의 회장이며 저명한 도서관 설계자문가인 Andrea A. Michaels와의 대담을 통하여, 도서관빌딩의 개조나 새로운 빌딩의 설계에 있어서 입안자들의 요구조건과 도서관의 공간, 가구 및 장비 등의 현실적 조건 사이에 균형을 찾아야 하는 설계자문가들의 역할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첨단기술이 적용된 도서관을 계획하는 경우의 설계자문에 대한 내용, 단계, 특성 및 수용해야 하는 첨단기술 등의 전반적인 사항을 검토하여 도서관 시설계획에 대한 안내서로 제공하고 있다.
□ 도서관의 3대 요소로서 직원, 자료, 시설을 들고 있지만 시설의 경우는 직원이나 자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논문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도서관의 건축도 문헌정보학에서 다루어지지 않고 대부분 건축학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물론 도서관 건축은 건축학의 영역임이 분명하나 도서관의 기능적 측면들은 문헌정보학에서 다루어져야할 사항들이며, 이는 정보화 사회가 발전할수록 또한 도서관의 전자화가 진행될수록 그 상대적 중요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
□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일부 대학도서관을 제외하고, 실무사서의 참여 없이 도서관 기능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못한 건축가와 행정가의 주도로 도서관들이 건축되어 왔다. 그러나 앞으로는 도서관들도 신속한 정보, 보안, 안정적인 공급 등의 기능적 측면들의 경쟁이 강화될 것이며, 그만큼 효율적 기능과 시설이 중요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도서관의 건설도 문헌정보학적인 측면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M. D. Boon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3
- 권(호)
- 21(2)
- 잡지명
- Libr. Hi Tech (UK)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246~252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