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학술도서관 분야의 전자정보서비스 평가에 대한 활동과 문제점(Evaluating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a review of activity and issues in the UK academic library sector)
- 전문가 제언
-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1990년대부터 도서관/정보센터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정보서비스의 효율성 향상과 이용자의 만족도를 측정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고, 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국제적인 관심사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나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같은 기관에서도 정보서비스의 성과측정에 대한 편람을 발표함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국제적인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 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의 일반적인 목적은 서비스 수준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를 만들고, 다른 정보서비스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서비스의 혜택을 분석하여 비용과 수익 사이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그 존재이유를 정당화하고, 업무의 비효율성이나 실패를 파악하여 업무를 개선하고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영국 Central England대학의 정보연구센터(CIRT)는 2001년 9월부터 30개월간의 일정으로 eVALUEd 프로젝트를 수행 중에 있으며, 학술도서관 및 정보센터들이 자신들이 제공하고 있는 전자정보서비스를 자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도구함(toolkit)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여기서는 영국의 전자정보서비스 제공기관들이 자체적인 평가를 실시하며, 경험한 실무적인 문제점과 실제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요구사항을 평가도구함 개발에 반영하기 위하여 실무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또한 현재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보완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eVALUEd 프로젝트의 전자정보서비스 평가도구함의 개발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1985년에 대한도서관연구회가 공공도서관 평가지표를 발표하면서 공공도서관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연구가 시작되었고, 1998년에는 문화관광부에 의해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전자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연구는 아직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이와 같은 연구 자료는 우리에게 참고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Hartland-Fox, R.; Thebridge, 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3
- 권(호)
- 20(1)
- 잡지명
- Libr. Hi Tech News (UK)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7~36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