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서관 사서들의 국제화 성향: 덴마크 사서들의 사례(Attitudes towards internationalisation in the library sector: the case of Danish librarians and library managers)

전문가 제언
□ 학자들은 국제화되고 글로벌화한 환경에서의 문화적 차이를 규명하여 경영과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을 해왔는데, 그 중에서 특히 Hofstede의 연구는 각국의 문화적 차이를 권력 간격, 집단주의 대 개인주의, 여성 대 남성,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성향의 4가지 단순한 차원으로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평가를 받고 있다.

□ 덴마크 국민들은 자신들을 국제화 성향이 높은 사람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또한 사서는 국제협력과 네트워킹이 필수적인 즉, 국제화 지향성이 강한 직업이기 때문에 덴마크에는 국제화 성향이 가장 높은 집단으로서 사서들을 꼽는 사회통념이 있다고 한다.

□ 여기서는 Hofstede의 연구결과와 2001년 및 2002년에 덴마크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덴마크 사서들의 국제화 성향을 분석하고 있으며, 덴마크 사서들의 국제화 성향이 높지 않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또한 국제화 성향의 사서들과 그렇지 않은 사서들 사이에는 특성적 차이점이 있고, 덴마크의 도서관 관리자들에게는 스칸디나비아형의 특수한 리더십이 존재함을 밝히고 있다.

□ Hofstede의 분석에 의하면, 한국은 큰 권력 간격을 용인하면서 개인주의적 성향이 낮은 문화라고 하는데, 미국의 경우는 권력 간격이 작지만 개인주의적 성향이 높고, 일본은 한국과 미국의 중간 정도라고 한다. 또한 한국은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성향이 높고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문화라고 한다.

□ Hofstede의 연구는 각국의 문화적 차이를 계량해준다는 측면에서 편리하지만 그 정확성에 대해서는 많은 이견이 발표되고 있는데, 연구결과가 일반화되기 어렵다는 점, 한 나라에도 여러 문화가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나라를 비교할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 또한 오늘날에는 세계가 급속하게 변하고 있기 때문에 1980년대에 행해진 그의 연구는 이미 낡은 것이 되었다는 등의 비판이 있다. 그러나 글로벌화한 환경에서 문화적 차이를 계량화하는 다른 연구방법은 거의 없는 실정이며,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와 방법을 참조하면서 우리의 특수한 상황을 구별하여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Pors, N.O.; Johannsen, C.G.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3
권(호)
104(7)
잡지명
New Libr. World (UK)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278~285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