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자도서관 환경에서 이용자 프라이버시에 대한 정책과 준비에 관한 연구(User privacy in the digital library environment: an investigation of policies and preparedness)

전문가 제언
□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이용기록에 포함될 수 있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관한 기록들은 보호되어야 하고 법적으로도 보호를 규정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정보화 사회에서는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정보자료들이 국민들에게 공개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정보자원의 효율적 활용 사이에서 딜레마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에도 어려움이 뒤따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위와 같은 사례로서 미국의 애국법(Patriot Act)이 있으며, 미국은 2001년의 911 테러사건 여파로 즉시 애국법을 제정하였고, 이 법에 의해 연방수사기관과 사법당국은 납득할 만한 사유나 수색영장 없이도 정보통신의 이용기록에 관한 자료제출을 요구할 수 있게 되었으며, 따라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규정하고 있는 미국 헌법정신을 위반하고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는 커다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 여기서는 영국 Loughborough 대학교 문헌정보학과가 2000년 6월~2001년 12월의 기간에 전자도서관 환경에서의 이용자 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전자도서관 종사자, 도서관 이용자 및 도서관에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위와 같은 문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하여 이용자들이 도서관에 기대하는 수준과 도서관이 준비하는 보호대책 사이에는 커다란 격차가 있고, 자료보호를 규정하고 있는 법과 도서관의 실행대책 사이에도 커다란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또한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자도서관 분야에서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정책으로 고려해야할 항목들을 가이드라인으로서 제시하고 있다.

□ 여러 연구문헌들에 의하면 사서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사항은 이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이라고 조사되고 있고 프라이버시와 기밀성은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한다고 하는데, 이 점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사료된다. 도서관은 사서들에 의해 운영되기 때문에 개인기록의 프라이버시 보호는 1차적으로 사서들에 달려 있는 문제이며, 따라서 관련 대책도 사서들의 훈련을 포함한 시스템 구축이나 관련 정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인 바,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그러한 대책이나 정책의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Sturges, P.; Davies, E.; Dearnley, A.; Iliffe, U.; Oppenheim, C.; Hardy, R.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3
권(호)
24(1-2)
잡지명
Libr. Manage. (UK)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4~50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