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의 어린이도서관 개발 및 현황(The development and present state of library services to children in Japan)

전문가 제언
□ 어린이도서관은 1835년의 미국 Massachusetts주 West Cambridge 어린이도서관이 최초라고 하지만 실제로 어린이에 대한 도서관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것은 미국은 1920년대에, 영국은 1930년대부터이다.

□ 일본에서는 1950년대에 자녀들에게 독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부모들이 소규모 민간도서관인 문고(文庫)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면서 어린이를 위한 독서환경과 도서관서비스가 크게 개선되었는데, 여기서는 그러한 문고운동의 배경과 전개과정 및 공공도서관에 미친 영향 등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1963년에 발표된 Chusho보고서와 1970년에 시작된 시민도서관이 새로운 공공도서관의 구축과 어린이를 위한 독서시설 향상에 기여한 점을 분석하고 있으며, 일본의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밝히고 있다.

□ 어린이들이 책과 접하고 책에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을 활용하는 방법이 최선이지만, 우리나라는 어린이들이 독서할 수 있는 기반은 마련해주지 않고 책을 읽으라고 강요만 하는 사회라는 평가가 있는데,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어린이전용도서관은 1979년에 개관한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과 2003년에 개관한 서울시 노원구청의 노원어린이도서관의 2개뿐이다.

□ 그러나 선진국에도 어린이전용도서관은 거의 없고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뿐이라고 하며, 따라서 문제는 어린이도서관의 수가 아니라 어린이를 위한 서비스의 질과 양임을 알 수 있다. 2002년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80% 이상은 어린이열람실을 갖추고 있고, 또한 2003년 5월 현재 전국적으로 10여개의 지역 어린이전용도서관 건립이 확정되어 있다. 민간 어린이도서관도 2003년 현재 전국적으로 100여개가 있으며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문제는 대부분의 도서관이 어린이가 접근하기 불편한 곳에 위치하고 있어 방과 후의 활동공간으로 이용되기 어렵다는 점에 있으며, 또한 어린이를 담당하는 사서에 대한 교육도 거의 없어 그 효율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의 활성화는 이 두 가지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찾는 것으로부터 출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Kanna, K.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3
권(호)
24(1-2)
잡지명
Libr. Manage. (UK)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79~85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