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성숙 경제에 지식중심 관리개념의 적용(Applying a knowledge-focused management philosophy to immature economies)

전문가 제언
□ 지식관리에 대한 정의는 학자나 실무가들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조직구성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그러한 정보를 조직의 성과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관리기술로 정의되고 있다. 즉, 지식중심 관리프로그램에서는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를 확보하여 조직의 정보로 만들고, 그 정보에 의해 생산된 지식을 회사직원들에게 일상적으로 배포해주게 된다.

□ 여기서는, 지식중심의 관리개념을 소개하고 성숙경제에 있던 회사들이 저비용 노동력의 미성숙경제로 옮겨갈 경우에 지식중심의 관리기술이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강조하고 있다. 또한, 기업경영자들이 지식중심의 관리프로그램을 채택하기 위해서는 그 성과를 미리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지금으로서는 성과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대략적인 성과방향을 알려 주는 이론들은 개발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이 실시된 이후의 성과는 실시이전의 성과와 비교함으로써 어느 정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근래에 SK주식회사의 지식관리 성공담이 커다란 화제가 된 바가 있으며, 다른 기업들의 본보기가 되었다. 특히, 본문에도 나와 있는 바와 같이, 거대조직이 내부의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를 극복하고 지식중심의 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하려면 큰 비용과 많은 어려움이 뒤따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SK는 각 분야의 부서나 팀마다 상이하고 독특한 형태의 지식관리를 발전시킴으로써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한 것은 다른 거대기업이나 다양한 분야의 기업군들에게 좋은 성공사례로서 연구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그러나 지식관리의 방법과 성과평가방법은 아직까지 일반화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SK의 경우는 20년간 지속해온 그들만의 독특한 경영기법과 기업문화가 바탕이 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기업들이 무조건 뒤따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 자료는 지식중심 관리기술의 기본개념에서부터 그 적용에 성공한 사례까지 설명하고 있으므로 지식관리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Huseby, T.; Chou, S.T.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3
권(호)
103(2)
잡지명
Ind. Manage. + Data Syst. (UK)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26~132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