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로운 생산성 패러독스(The new productivity paradox)

전문가 제언
□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1980년대와 90년대 초까지의 정보기술에 대한 투자와 정보기술 혁신은 역사상 가장 빠른 기술혁명을 진행시켰지만 그 효과는 지금까지의 어떤 기술변화보다 실속이 없었고, 신기술에 대한 막대한 투자에 비하여 생산성이 그만큼 따라가지 못한다는 소위 생산성 패러독스(Productivity Paradox)에 의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 최근에 미국에서는 정보기술 분야의 생산성 패러독스는 통계과정 상의 오차와 생산성 증가의 시차에서 비롯된 오해이며, 정보기술에는 직접적인 생산성 증가효과 이외에도 정보화를 통해 유발되는 간접적인 생산성 증가효과가 크게 기여하고 있고, 정보기술의 혁신이 1990년대 중반 이후의 장기적인 호황과 지속적인 생산성 증가의 밑바탕이 되고 있다는 분석을 하고 있다.

□ Fortune지가 선정한 2000년을 대비하는 1,000대 기업에 대한 조사에 의하면, 이들 기업들은 정보기술에 투자한 비용의 몇 배에 해당하는 시장가치의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즉, 기업의 시장가치와 2000년을 대비한 정보기술 투자 사이에는 강한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그 효과는 2000~2002년에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위와 같은 결과는 2000년대라는 새로운 동력으로 인해 기대 이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를 역으로 해석하면 정보기술에 투자되어야할 시기에 오히려 적절한 수준의 투자가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의미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이 자료는 위와 같은 분석을 근거로 하여, 1980년대와 90년대에 2000년을 대비한 정보기술투자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의미로서, 기존의 생산성 패러독스와 반대되는 개념의 “새로운 생산성 패러독스”를 제기하고 있으며, 시장가치 분석모델을 통하여 새로운 이론의 증명을 시도하고 있다.

□ 정보기술 혁신은 모든 면에서 기존질서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우리에게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제한된 자원을 갖고 있는 우리는 선택과 집중이 불가피하며, 그런 의미에서 이미 상당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정보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는 지속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Anderson, M.C.; Banker, R.D.; Ravindran, 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3
권(호)
46(3)
잡지명
Commun. ACM (USA)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91~95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