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보학 개관(Informatics: a brief survey)

전문가 제언
□ 오늘날과 같이 개인 간, 전국적, 국제적인 전자 통신 네트워크(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를 근간으로 하는 국경 없는 사회(Boaderless Society)를 초래하게 된 정보 사회에서의 정보학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정보학이란 “과학적 정보활동의 질서와 이론, 역사, 방법론, 체제, 과학적 정보의 구조와 특성을 연구하는 과학 분야”로 정보학은 1965년에 UCLA 심포지엄에서 공식적으로 나타난 이래 다양한 분야의 정보 기술의 응용에 점차 채택되어 정보화 사회의 신흥 학문 분야이다.

□ 정보학의 주 목적은 분류, 조직, 설명, 기억, 정보 검색, 정보의 사용에 대한 이해에 이르는 모든 형태의 정보의 본질을 연구하는 것이며,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HCI)은 생물학적,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형태의 정보 처리 모형들을 통해 미해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 정보학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컴퓨터 공학은 우리 문화와 경제와 사회의 새로운 충격 속에서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정보학 발달의 중요한 면은 항상 변화하는 컴퓨터 기술에 대처할 방법과 실제 상황의 다양한 조직체 내에서 지식을 정의하고, 얻고, 나누고, 이용하는 것이다.

□ 정보학의 응용 분야를 보면 생물 정보학, 임상 정보학, 치의 정보학, 환경 정보학, 건강 정보학, 법률 정보학, 경영 정보학, 사회 정보학, 약학 정보학, 의료 정보학, 조직 정보학, 신경 정보학을 들 수 있다.

□ 정보 기술이 급속한 진보하기 때문에 정보학 분야의 과학자는 새로운 문제 발생 시 적절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의 선택과 판단 기준을 이해해야 하고, 정보학 교육의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면 모두에 주목하여 정보학 교육을 향상 하여야 하며, 인터넷과 웹상에서 여러 언어의 급속한 사용으로 다중언어에 대한 정보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저자
Shaoyi He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3
권(호)
21(2)
잡지명
Electron. Libr. (UK)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17~122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