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서비스분야의 인적자본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s on human capital in service sector organizations)

전문가 제언
□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고 인터넷의 이용이 확대되면서 사회는 급속히 지식중심사회로 전환되고 있으며, 한편으로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자본시장에 대한 모든 사회구성원들의 관심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기업의 시장가치와 장부가치 사이의 격차는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기업의 가치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정보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 우리는 흔히 기업조직 내의 인력을 소중한 자산이라고 말해왔으나 지식중심사회에서는 인력에 대하여 자산 이상의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으며, 이를 인적자본이나 인적자원으로 정의하고 지적자본이나 무형자산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다. 미국의 경제주간지 Business Week에 따르면 기업경영자의 80%가 우수한 인력의 유치와 이탈방지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고, 인적자원에 기업의 승부를 걸고 있다고 한다. 경제학자들은 기업의 대차대조표에 기록되지 않는 무형의 자산 즉 지적자본이 장부가치의 3~4배에 이른다고 분석하고 있다.

□ 오늘날의 대부분의 기업들은 인적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그 가치를 측정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인적자원회계(Human Resource Accounting)는 인적자본을 재산의 일부로 보고 그 가치를 화폐단위로 따져 계산함으로써 하나의 방법을 제공해주고 있다. 여기서는 인적자원회계의 과거 개발과정을 요약하고, 그 개념과 방법 및 문제점을 소개하고 있으며, 또한 인적자본의 가치가 가장 높게 평가되는 서비스 분야에 인적자원회계를 적용할 경우의 고려해야할 점과 정보전문가의 역할을 요약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IMF를 겪으면서 기업의 경영자들은 핵심 인재의 유지가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었고, 특히 첨단기술 분야의 기업들은 임직원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자료가 요약하고 있는 인적자원회계는 아직까지 완전히 정립되어 있는 이론이 아니지만, 인적자원의 가치가 회사에 주는 영향을 정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측면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참고할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Gebauer, 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3
권(호)
104(1-2)
잡지명
New Libr. World (UK)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33~41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