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 국가들의 인터넷 이용현황 및 전자상거래 이용의 문제점(Key Internet characteristics and e-commerce issues in Arab countries)
- 전문가 제언
-
□ 아랍권은 아프리카 북서쪽의 모리타니아로부터 이집트까지의 아프리카 북부일대와 아프리카 북동부의 수단, 지부티, 소말리아를 비롯하여 아라비아반도 전역 및 아랍세계의 중심부가 되고 있는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를 포괄하는 지역을 일컫는다. 1999년 기준으로 아랍권의 인구는 약 2억 8천만으로서 그 자원과 잠재력은 미국에 버금가며, 일인당 국민소득은 평균 4,550$로서 그 전체 구매력은 중국에 맞먹는다고 할 수 있다.
□ 아랍권의 평균적인 경제력과 생활수준은 세계 평균에 뒤지지 않으나 인터넷 산업수준은 세계평균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인터넷 전반에 대한 현황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여기서는 국가규모와 경제력을 기준으로 아랍세계를 북부 아프리카, 동부 아프리카와 예멘, 아랍세계 중심부, 걸프 만 국가들의 4개 지역으로 나누어 인터넷 이용현황을 조사하고 전자상거래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있으며, 아랍 각국의 정책결정자들이 인터넷 이용 확산을 위한 정책결정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 아랍권은 전반적으로 정보통신산업이 낙후되어 있지만, 걸프 만 지역의 국가들은 석유자원을 앞세운 경제력과 생활수준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의 이용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특히 역내교역의 거점이 되고 있는 두바이(Dubai)시 같은 경우에는 아랍권에서 처음으로 인터넷도시와 전자정부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아랍권 자체적으로 인터넷을 활성화시키기에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능력도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따라서 걸프 만 지역 국가들이 중심이 되고 인터넷 선진국과 협력하여 아랍권 전역에 대한 인터넷 이용의 파급을 기대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인터넷 선진국으로서 정보통신산업을 미래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천명하고 있고, 따라서 아랍권에 대한 관련 상품의 수출에도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안목에서 상품과 서비스 및 관련 분야의 기반구조를 포함시키는 종합적인 아랍권 시장진출을 강구해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와 같은 자료가 그러한 연구의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Aladwani, A.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3
- 권(호)
- 16(1)
- 잡지명
- Inf. Technol. People (UK)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9~20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