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 정보기술 분야의 유색인 여성: 학위경향 및 정책방향(Women of color in IT: degree trends and policy implications)

전문가 제언
□ 세계를 이끌어가고 있는 미국은 20세기에 농업에서 제조업으로, 제조업에서 정보산업으로 두 번에 걸쳐 그 경제적 기반을 전환시켰으며, 21세기에 국가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정보산업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 과거에 미국의 과학기술 인력은 주로 백인남성들이 차지하였으나, 1980년대 이래로 그들이 법률과 사업부문으로 빠져나가면서 우수한 과학기술인력의 부족을 경험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해외의 과학기술 인력이 보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9.11테러사건 이후에는 그마저도 어려운 실정이 되어가고 있다. 여기서는 과학/공학 분야, 특히 컴퓨터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의 학사학위 배출 경향을 인종/민족 및 성별로 분석하여 유색인 여성의 학사학위 배출 현황을 요약하고 있다. 또한 과학/공학 분야에 여성의 진출이 부족했던 요인 및 유색인 여성들의 성향을 분석하고, 이들 분야에 여성, 특히 유색인 여성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바람직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근래에 우리나라도 이공계 기피현상으로 과학기술 분야의 장래 인력공급에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으며, 정부 차원의 여러 가지 대책들이 발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그동안에 여성의 사회진출이 낮았고, 특히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여성의 진출은 극히 낮은 상태였기 때문에 여성의 관심을 유도할 수만 있으면 오히려 우수한 인력공급원이 확보되어 있다고 할 것이며, 따라서 이를 위한 적절한 사회적 분위기와 정부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사료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어느 한 분야에 대한 여성인력 문제는 대개 여성문제 전반에 대한 대책으로 귀결되는 경향이 있어왔다. 따라서 지금으로서는 정보기술 분야의 여성인력 유치 문제도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여성의 교육과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문제로 다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나, 이 자료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선진국에서는 이미 분야별로 여성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우리로서도 그러한 방향으로의 정책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사료된다.
저자
Leggon, C.B.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3
권(호)
23(3)
잡지명
IEEE Technol. Soc. Mag. (USA)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36~42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