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대학원생 비율과 학과별 평가수준(Female graduate students and program quality)
- 전문가 제언
-
□ 미국 국가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정보기술 분야에 대한 여성과 소수인종의 참여율이 인구전망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심각한 정보격차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성과 소수인종의 컴퓨터과학 분야 학사학위 취득자는 지난 10년 동안에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 미국은 인종이나 남여간의 정보격차 이외에도 이공계 고급인력의 부족을 경험하고 있으며, 따라서 인종별/성별 정보격차 해소와 이공계의 고급인력 충원을 목적으로 여성 및 소수인종의 이공계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과학 분야의 여성 참여율은 다른 분야들에 비해서도 극히 저조하기 때문에 미국과학재단이나 컴퓨터연구협회 및 미국과학진흥회 등에서는 여러 가지 대책들을 모색하고 있다.
□ 미국의 컴퓨터과학 분야 대학원과정에서 여학생 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등록학생의 1/3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여학생 비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대책들도 아직까지는 뚜렷한 성과를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는 컴퓨터과학 분야 대학원과정의 여학생 유치요인들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가장 바람직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교수진의 학술적 수준이 우수하다고 평가된 학과들의 여학생 비율이 가장 낮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또한, 미국 컴퓨터연구협회가 여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제시한 방안들에 대한 효과분석을 시도하였지만, 효과를 입증할만한 증거를 찾지 못했으며 더 연구가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 여성의 사회참여를 유도하는 정책과 이공계 분야의 여성 참여율을 향상시키는 대책은 세계적인 관심사이고, 이공계 학과들 중에서 평가수준이 낮은 학과에 여학생이 몰리는 현상은 여성교육이 분리되어 있는 국가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여성의 낮은 사회참여율을 향상시키고 여성의 이공계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정보기술 분야의 계층별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자료는 그러한 대책들을 세우기 위한 기초자료, 특히 컴퓨터과학 분야에 여성고급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수립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라고 사료된다.
- 저자
- McGrath Cohoon, J.; Baylor, K.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3
- 권(호)
- 23(3)
- 잡지명
- IEEE Technol. Soc. Mag. (US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28~35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