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 도시지역 고등학교들의 컴퓨터과학 분야 교육현황(The computer science pipeline in urban high schools: access to what? For whom?)

전문가 제언
□ 정보화 사회에서 계층이나 성별 및 인종에 따른 정보격차는 정보소외계층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회통합을 저해하며, 나아가서는 국가전체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지식정보사회에서 부의 불평등한 분배차원을 넘어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는 기본적인 기회가 제한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 세계 각국은 계층간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러한 사례로서, 미국은 고등학교 교육에서의 컴퓨터과학 분야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국가적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하층계급인 유색인종 학생들이 현실적으로 그러한 격차를 극복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인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 여기서는 미국의 저소득층 및 유색인종 고등학생들이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경보격차를 보이는 이유를 연구하기 위해 Los Angeles에서 디지털학교로 승인되어 있는 3개 고등학교를 표본으로 선정하고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분석하고 있으며, 컴퓨터과학 분야의 교육현황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또한 고등학교에서 성별이나 인종에 따른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나 인터넷 연결 등과 같은 디지털해법 이외에도 다양한 사회적 불평등에서 기인되는 문제들이 해결되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2004년 상반기에 인터넷 이용인구가 3,000만을 돌파하는 전환점을 기록하였으나 사회계층간 정보격차는 오히려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보문화진흥원의 분석에 따르면, 정보화 취약집단(저소득층, 농어민, 저학력층, 노년층)의 정보접근지수는 국민평균 대비 55% 수준이며, 질적인 역량/활용지수는 겨우 18%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한다. 정보화 사회는 정보의 소유와 활용 정도에 따라 계층화되는 경향을 가지며, 한번 만들어진 계층간의 골은 쉽사리 해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보격차의 해결책은 국가가 적극적으로 대처해야할 사안이며, 미국과는 입장이 다르지만, 고등학교 교육이 가지는 중요성에 비추어 고등학생들에 대한 정보격차문제도 사회전반에 대한 대책에 포함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Margolis, J.; Holme, J.J.; Estrella, R.; Goode, J.; Nao, K.; Stumme, 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3
권(호)
23(3)
잡지명
IEEE Technol. Soc. Mag. (USA)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2~19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