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효율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에너지-라벨 및 환경-라벨(Eco-labeling for energy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a meta-evaluation of US programs)
- 전문가 제언
-
□ 소비자로 하여금 에너지 효율적인 기구를 구입하고 사용하게 함으로서 제작자가 이에 응하여 설정된 범주에 속하는 상품을 만들도록 유도하는 것이 환경 라벨 프로그램이다. 현재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환경관련 라벨이 20개가 넘지만 그 중 중요한 다섯 개의 프로그램을 본문은 소개하고 있다.
○ 그 중에 네 개는 에너지 효율 향상을 통한 에너지 절약과 이에 따르는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는데 비하여 하나는 재생 에너지의 사용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에 목표를 두고 있다.
- 그 중에는 민간 주도의 인증 라벨 프로그램이 있는가하면 정부 주도로 이루어진 프로그램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정부 주도의 인증제도의 도입은 민간주도의 인증 프로그램을 소멸시킨다는데 있다.
□ 이 라벨 프로그램의 성과 판단은 소비자 반응과 제작자 반응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 소비자 반응은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의 수용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인식, 이해와 행동으로 판단한다. 인식은 소비자가 프로그램의 존재에 대해 어느 정도 아는가이다. 이해는 소비자가 환경적 문제, 라벨의 의미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행동의 연관성을 어떻게 해석하는가이다. 행동은 소비자의 인식과 이해가 얼마나 바람직한 행동으로 나타나느냐, 즉 라벨을 부착한 상품을 구매하느냐로 판단한다.
○ 제작자의 반응은 환경-라벨을 부착한 상품의 공급자를 말하며 시장의 핵심이 된다. 제작자의 데이터는 프로그램 관리자로부터 직접 얻을 수 있고 프로그램 간에 공평한 비교가 된다. 그러나 라벨 프로그램의 성공도를 잴 수 있는 판매량은 대부분의 기업체에서 비밀로 분류되어 있어 얻기 어려울 것이다.
□ 끝으로 본문은 마지막을 정책 결정자에게 라벨 프로그램을 통한 에너지 절약과 환경 문제 저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 건의”의 장을 따로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이 “성공도의 결정”의 장과 완전히 일치하여 분석에서는 제외하였다. 즉 성공도가 높은 요소 일곱 개를 그대로 실천하라는 건의였다.
- 저자
- Banerjee, A.; Solomon, B.D.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31(2)
- 잡지명
- Energy Policy (UK)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09~123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