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정보 시스템 보안(Airport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 전문가 제언
-
□ 정보기술관리혁신법(ITMRA)의 발효일은 1996년 8월 8일로서 미 연방 정부 기관에서 IT의 조달과 관리 절차에 있어서 주요 패러다임을 바꾼 대 개혁이었다. 그 후 연방 정부에서는 ITMRA의 목적을 이해하는 일과 IT 경영을 위한 프로그램 혹은 프로세스를 정립하는 업무를 범정부적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 국립항공시스템(NAS)은 미국항공국(FAA: Federal Aviation Admini- stration)에서 1995년에 개발, 상용화한 종합 공항 관리 소프트웨어이다.
□ 공항의 보안은 시설 보안과 정보 보안으로 대별할 수 있다. 시설 보안은 물리적인 접근 통제와 수동적 관리 절차가 그 주체이며, 이는 과거로부터 미래로 이어지는 없어서는 안 될 보안 시스템이다. 반면 정보 보안은 전산 네트워크의 발전에 기초한 공항정보시스템이 도입되면서부터 주목을 받게 된 보안 시스템이다.
□ 공항의 정보보안은 공항에 설치되는 수많은 정보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근원적 취약성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시스템을 연계, 관리할 수 있도록 총체적 보안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 특히 공항은 일반 대중이 쉽게 접근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시설의 취약성이 대중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고, 보안 목적 상 대중의 사적 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밖에 없는데 개인의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보다 완벽한 정보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 물리적 보안 시스템은 궁극적으로는 정보 보안 시스템과 연계된다. 일례를 들면, 검색에 사용되는 X-선 혹은 중성자 검색장치 등도 최근 전산시스템의 형태로 설치되면서 공항 통합 정보 시스템의 한 부분이 되고 있다. 침입자가 정보 시스템을 통하여 이러한 검색 장치를 마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경계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저자
- Wilson, D.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18(4)
- 잡지명
- IEEE Aerosp. Electron. Syst. Mag. (US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25~32
- 분석자
- 황*룡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