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식손상 속도와 충격의 측정 (Measuring the rates and impact of corrosion damage)
- 전문가 제언
-
□ 금속재료가 주위 환경인 대기오염, 습기 등에 의해서 화학적 또는 전기 화학적으로 침식되어 열화 또는 파괴되는 부식현상은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을 포함하는 수송기기의 건전성과 수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부식된 부품을 수리하고 유지 관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특히 항공기와 같이 대기 중의 습기와 염화물에 의한 부식에 의해 많은 손실을 가져 올 수 있는 구조물의 내부식 성능을 높이기 위해 미국과 유럽 등은 재료, 부식, 파괴역학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부식을 예측하고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미국공군의 부식방지와 통제부에서 전 세계 100여 곳의 비행장에서 실시한 야외 폭로 실험에 관한 자료는 항공기의 부식 관리와 더불어 환경 오염에 대한 상대적인 자료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우리나라 군산비행장에서의 야외 폭로 실험 데이터가 약 600micrograms/㎠/yr로서 세 번째로 부식이 심하게 발생하고 염화물이 많이 축적되어 있다는 자료는 우리나라의 대기 오염이 얼마나 심각한 상태인가를 나타내는 보여 주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대비책을 확립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 항공기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식 손상을 수리하고 부식의 성장을 예측 및 관리하는 엔지니어링 툴의 개발과 더불어 부식을 예방하는 다양한 표면개질 기술이 필요하며 현재 자동차를 비롯한 항공기, 소재산업 등에서는 경제성과 유용성이 우수한 표면개질 기술의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따라서 항공기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우리나라는 관련 기술의 개발과 확보에 힘을 기울여야 하며, 본고에서 정리한 “부식손상 속도와 충격의 측정”에 대한 내용은 우리나라 항공기 구조물의 신뢰성을 확립하는데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Kinzie, R.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75(2)
- 잡지명
- Aircr. Eng. Aerosp. Technol. (UK)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23~132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