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Electromagnetics - the uncertain health risks)

전문가 제언
□ 기술집약적이고 정보화된 사회에서 전기 사용과 전자파를 이용한 무선기기의 사용은 사용자의 편리함을 기반으로 더욱 증가될 전망이다. 특히 향후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전자파로 인한 인체의 영향과 안전에 대한 요구사항은 기술발전과 생활향상의 정도에 비례하여 급속히 증가될 것이다.

□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전자파에 장시간 저 강도로 노출됨으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 여부는 임상시험 등과 같이 장기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어, 전 세계적으로 명확한 안전기준과 이와 관련한 결론을 얻지 못하는 상태에 있다. 현재의 기술로 폭 넓고 많은 연구를 통하여 충분히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1996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자파학회 등에서 전자파 인체영향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2000년 1월 전파법에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제정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어 다행스럽게 생각하나, 향후 제기될 문제점을 고려할 때 아직 미진한 감이 많다.

□ 정보화시대에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 여부는 모든 개인과 국가가 중요하게 여기는 사안이고, 향후 주요 기술 장벽의 요소로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전자파 유해성에 대한 기초 연구나 규격 기준 연구는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Habash, R.W.Y.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3
권(호)
22(1)
잡지명
IEEE Potentials (USA)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3~29
분석자
박*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