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화학/바이오센서의 미세제작기술(Microfabrication techniques for chemical/biosensors)

전문가 제언
□ 화학과 바이오센서의 미세 제작기술은 과학기술의 전 분야에서 제기되고 있는 나노기술의 진입과 그에 따른 각국의 치열한 경쟁의 핵심이 되는 사항이다. 미세 제작과 가공은 소재의 균일성, 단위 면적상에서 나타낼 수 있는 기능의 확대성, 작업공간과 경량 소품이주는 강점은 대단히 많은 부가가치를 안겨준다.

□ 이는 또한 저가 소형화, 커스텀 IC화와 부가적인 기능에 대한 콤비네이션 및 공정의 일관성을 주면서 대량생산의 프로세스를 강구하는 것은 마이크로의 세계에서는 많은 기대를 품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 센서기술은 심층 분석이 아닌 소형의 휴대용일 것과, 저가여서 많은 장소에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는 것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의 소재를 주축으로 한다. 이는 소재의 특성상 조성과 기하학적 구조 및 작동온도와 혼합물의 구성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데, 이에 대한 각론적인 연구는 고도로 특성화된 센서의 개발이 이루어지는 저력을 잠재하고 있다.

□ 이런 점에서 특성화된 분석구성과 전자기술의 센서의 개발은 미세 가공의 분야를 많이 제공한다고 보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여러 연구조직에서 많은 센서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은 경북대학교의 센서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력이 확대되어있고, 연구소는 에너지기술연구원과 KIST 등에서 연구하고 있다. 기업은 삼성의 MEMS연구팀과 LG 등이 있고, 또한 중소기업에서도 상당한 수준의 연구와 생산을 하고 있는데, 이들 중에는 수출도 한다.

□ 그러나 센서연구는 일본이 많이 앞서있는데, 우리들은 새로운 분야의 특징적인 과제를 도출함과 아울러 투자를 겸한 집중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예를 들면 연료전지의 수소센서인 경우, 선진국도 시작의 타이밍이 거의 비슷하므로 우리들이 예산보증아래 많은 연구력을 집중시키는 노력을 경주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
Hierlemann, A.; Brand, O.; Hagleitner, C.; Baltes, H.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91(6)
잡지명
Proc. IEEE (USA)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39~863
분석자
손*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