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통신의 구현(Implementing wireless communications)
- 전문가 제언
-
□ 각각의 무선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나라별로 많은 차이가 있다. 어떤 국가에서는 특정 대역이 이미 다른 시스템에 의해서 선점되어 있어서 이기도 하지만, 자국의 이익을 위한 정치적 의도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사용 주파수 대역을 통일하는 일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블루투스는 PAN(personnel area network)의 일환으로 매우 각광 받았던 기술이었다. 비교적 낮은 데이터 전송률이지만 매우 싼 값에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 컨셉이었기 때문에, 주로 개인 작업 환경에서 선을 없애는 용도 즉, 무선 마우스, 무선 키보드 등으로 많을 인기를 누릴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제로는 목표 가격 보다 상당히 높게 가격대가 형성되었고, 예상보다 많은 전력 소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국내에서도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 통신 거리나 간섭 같은 요소도 중요하지만 무선 통신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는 바로 이동성이다. 여기서는 이동 통신 환경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무선 통신 기술은 그것이 지원하는 이동성에 따라 엄청난 성능 차이를 보이게 된다. 무선 송수신기가 이동성을 가지게 되면 Doppler 확산에 의하여 주파수의 옵셋이 생기게 되는데 만약, 물리계층에서 주파수 옵셋에 민감한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면 통신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 무선 환경이 급격히 보급되면서 이와 함께 보안 문제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미 국내에 많이 보급되어 쓰이고 있는 802.11b 무선랜의 경우, 이미 보안 강화 규격이 적용되고 있으며 보안뿐만이 아니라 사용자 인증, 과금 등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들이 이슈화되고 있다.
□ 무선 통신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2006년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휴대인터넷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세계 최초로 시험대에 올라 있는 것인 만큼 국가의 위상과 자존심이 걸려 있음은 물론이다. 상용화에 성공하게 되면 무선 기술 분야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자
- OCallaghan, J.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23(2)
- 잡지명
- Sens. Rev. (UK)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02~110
- 분석자
- 황*룡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