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네트워크형 멀티미디어:당면 과제와 전망(Networked multimedia: issues and perspectives)

전문가 제언
□ 이 글에서는 떠오르는 기술산업 분야인 네트워크기반형 멀티미디어의 현황과 전망이 잘 집약되었다. 즉 네트워크의 발전방향, 유망 멀티미디어 응용산업, 해소되어야 할 사회적 및 기술적 문제 등이 제시되었다.

□ 네트워킹에서는 현재의 이동통신망, 케이블망, 광통신망, 디지털 가입자망(DSL), 인터넷망 등이 경쟁적으로 향상되겠지만 궁극적으로 광대역(broadband) 인터넷이 주도적인 네트워크가 될 것이며, 여기서 무선랜(WLAN)이 핵심적인 접속망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리고 차등서비스 프로토콜(DiffServ)과 MPLS 교환기술, 실시간 미디어 처리기술인 RTP, RTSP 프로토콜 등으로 우수한 서비스 품질(QoS)이 보장될 수 있다는 주장은 일반적인 기술전망과 일치하고 있다.

□ 광대역 인터넷과 고품질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산업이 제시되었다. 특히 개인사진 및 비디오 클립 교환(디지털 엽서), 디지털 방식으로 일괄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영화제작 및 배급 등은 획기적인 신사업 분야라고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전자, 정보산업도 인터넷과 가전제품, 생활용품이 유선, 무선으로 연동되는 네트워크형 정보가전 산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 고품질 멀티미디어 산업발전의 3대 장애요인이 제시되었다. 즉 디지털 지적재산권의 공정한 이용합의, 광대역 인터넷의 인프라 구축 투자, 그리고 미디어 보호기술 및 광대역망 접속기술 향상이다. 한국의 인터넷망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지만 아직도 충분한 광대역은 아니다. 통신망 사업자에 대한 투자 인센티브로 시설투자를 촉진해야 할 것이다.

□ 전통적인 지상파 방송영역은 정체된 반면에 광대역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통신산업은 성장추세에 있다. 새 기술을 바탕으로 한 신 성장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기반형 멀티미디어 촉진법(안) 등으로 정보통신 산업을 촉진시켜야 할 것이다.
저자
Weinstein, S.; Gelman, A.D.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3
권(호)
41(6)
잡지명
IEEE Commun. Mag. (USA)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38~143
분석자
김*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