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264/AVC 영상부호화 표준의 개요(Overview of the H.264/AVC Video Coding Standard)
- 전문가 제언
-
□ 이 글에서는 최신 영상부호화 국제표준인 H.264/AVC의 기술적 특징과 다양한 응용분야가 잘 정리되어 있다. 기존의 H.262/MEPG-2, H.263 등의 블록기반형 복합부호화 방식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기술향상으로 동일한 영상품질에서 기존 표준에 비해 50%의 데이터량 감축을 얻은 것은 획기적인 성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유선, 무선망에서 기존의 비트스트림 전송뿐만 아니라 인터넷 방식의 패킷전달 방식에도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분리계층(NAL)을 도입한 것도 매우 중요한 발전이라 판단된다.
□ H.264/AVC의 높은 성능 때문에 앞으로 기존의 H.262/MPEG-2, H.263, 그리고 모양정보 이용을 제외한 MPEG-4 등의 모든 영상부호화 표준 응용이 H.264/AVC로 교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기술도구들의 복잡성 때문에 우선은 부호화 지체시간(latency) 문제가 적은 방송과 스트리밍 등 비대화형 응용서비스 분야에 먼저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에 새로운 DMB 방송의 영상부호화 표준으로 H.264/AVC의 기본형표준이 선택된 것도 시의적절한 결정이라 할 수 있다.
□ 앞으로 각종 영상 멀티미디어 응용서비스에 H.264/AVC 부호화 표준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표준안에 명시되지 않은 부호화 과정의 광범위한 선택대상에서 특정 응용에 적합한 구체적 선택과 구현 기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복잡한 기술도구에서 구현방법의 개선연구로서 이 표준기법의 문제점인 부호화 지체시간(latency)이 단축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ITU-T와 ISO/IEC 등의 국제적 기술표준기구에서 새로운 기술표준을 위한 장기간의 협력연구과정에서부터 우리나라 산․학․연 각계의 적극적이고 계속적인 참여와 투자가 있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Wiegand, T.; Sullivan, G.J.; Bjntegaard, G.; Luthra, 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13(7)
- 잡지명
- IEEE Trans. Circuits Syst. Video Technol. (US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560~576
- 분석자
- 김*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