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유체기술과 MEMS(Microfluidics meets MEMS)
- 전문가 제언
-
□ μTAS 혹은 LOC(Lab-on-a-chip)는 최근 마이크로 유체기술 분야에서 연구의 토픽을 이루고 있다. 그 배경을 보면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경제적 측면이다. 이러한 마이크로시스템을 도구로 하는 응용분야가 화학분석, DNA분석을 비롯한 생체구조분석, 의료응용, 환경모니터링, 특수 환경에서의 화학반응분석 등 기술수요가 매우 많고, 에너지, 고가의 시료․시약절약, 폐액감축, 분석인력 축소 등 여러 이점이 예상되고 있는 점이다. 또 하나는 마이크로 유체채널의 형성과 관련된 디바이스의 기술적 난제해결이 MEMS 기술발전에 의해 가능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나노기술과의 연관성도 중요한 이점 중의 하나이다.
□ 마이크로 유체기술연구 붐은 최근 세계적 경향이지만, 대체로 미국과 유럽 국가들이 선도하는 상황이다. μTAS의 경우, 미국은 DNA분석을 위한 μTAS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반면, 유럽 국가들은 화학․생화학․의약분석, 환경 모니터링 등에 큰 비중이 주어져 왔다. 근래에는 독일, 스위스, 네덜란드, 덴마크 등을 중심으로 DNA 등 생체조직분야의 분석연구도 활발하다.
□ 스위스는 독일․네덜란드와 함께 유럽에서 μTAS를 비롯한 마이크로 시스템 기술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이 논문은 스위스 연방기술연구소(EPFL 및 ETHZ) 등과 함께 스위스 내 마이크로 시스템 기술연구의 중추적 위치에 있는 Neuchtel대학 마이크로 기술연구소의 마이크로 유체기술연구진이 IEEE 논문지(Proceedings of the IEEE, Vol.91, N0.6, 2003)에 게재한 내용으로서, MEMS기술의 등장과 진보가 마이크로 유체공학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가를 μTAS/LOC의 요소인 마이크로 유체채널기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이 논문은 현재 이 분야의 주요 이슈인 μTAS/LOC를 위한 마이크로 유체채널가공기술과 마이크로 유체디바이스 내 전기화학기능의 집적화 현황 등을 197개의 참고문헌을 통해 분석하여 MEMS기술의 진보가 마이크로 유체기술발전을 가져오고 있는 구체적 사례들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μTAS 등 마이크로 유체기술연구 붐이 조성되고 있는 국내연구진에게 유용한 연구정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Verpoorte, E.; De Rooij, N.F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91(6)
- 잡지명
- Proc. IEEE (US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930~953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