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전자산업의 상업적 전망(Why electronics in China - a business perspective)

전문가 제언
□ 본문에도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지난 10여 년 동안에 중국경제는 매년 두 자리 수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급격하게 성장하였고, 중국은 세계의 경제대국으로 거듭나고 있다. 단순부품을 생산하고 제품을 조립하여 수출하며 세계의 공장이라 불리던 중국은 이제는 기술대국입국을 자신하고 있으며 2001년 10월에 장기간의 협상을 마무리하고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그러한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 본문은 전자산업을 매개로 하여 중국의 세계무역기구 가입이 앞으로의 중국경제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을 전망하고 있으며, 중국의 급속한 성장을 지속시키는데 필요한 외국의 투자 및 기술을 유치하기 위하여 외국기업이 중국에서 사업하는데 필요한 경제 및 사회 전반의 정보를 요약하여 전달하고 있다. 전자산업의 일반현황을 비롯하여 새로이 건설되고 있는 사회간접시설을 설명하고, 경제현황으로서 중국시장의 개방 및 거대시장화, 낮은 노동비용과 사회제도, 현지조달이 가능한 부품원료 및 외국투자로 인한 연구개발의 향상, 근면성이 강조되는 문화, 환경대책의 강화 등을 약술하고 있다.

□ 등소평은 개방 후 20년 이내에 한국을 추월하겠다고 말하였다는데, 한 나라의 산업과 경제를 단순하게 판단할 수는 없지만,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가 중국의 낮은 원가와 일본의 높은 기술력 사이에 끼여 고전해온 것은 사실이다. 최근에는 중국이 기술력까지 갖추면서 한국기업들을 위협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성장동력 중 하나인 전자산업조차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중국 전자산업의 성장속도는 한국의 두 배에 이르고 있으며, 2005년이면 중국의 전자제품 생산량이 서유럽을 능가할 전망이라고 한다.

□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전략은 제품의 고급화 및 차별화가 될 수밖에 없고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고 유연한 기업 환경을 만들어서 경쟁력을 키워나갈 수밖에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거대시장이라는 요인 이외에도 본문에 설명되고 있는 중국정부의 해외투자 및 기술유치를 위한 노력과 정책은 중국에 대한 외국투자의 급속한 증가를 설명해주는 요인이며 우리의 정책에 참고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Wong, S.; El-Abd, H.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3
권(호)
26(1)
잡지명
IEEE Trans. Compon. Packag. Technol. (USA)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76~280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