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료포괄분석(DEA)을 이용한 제품전과정분석(PLCA)의 제품청정도 평가(Greenness assessment of products in PLCA by DEA approach)

전문가 제언
□ 산업발달로 인한 환경과 자원에 대한 문제는 1980년대 말부터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1987년의 유엔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가 발표한 Brundtland보고서에 언급된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이란 개념은 지구차원의 산업구조 조정을 위한 청정화전략(green strategy)의 이론적 배경이 되었다. 1992년에 브라질의 Rio de Janeiro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회의(UNFCC) 이후로 지구의 기후를 안정시키기 위한 당사국총회들이 개최되었고, 1997년에 일본에서 개최된 3차당사국총회(COP3)에서 합의된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는 1990년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 중심의 6가지 온실가스에 대한 배출감소목표로서 2012년까지 유럽연합 8%, 미국 7%, 일본 6%, 선진국 평균 5.2%를 결정한 바 있다.

□ 최근에는 온실가스 배출억제대책 이외에도 환경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자원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청정화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운동이 제품설계나 제조공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청정제조공정(green manufacturing)이 하나의 제품제조방식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청정제조공정이란 개념은 1996년에 미국기계학회(ASME)가 주창한 이후로 선진국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특히 1996년 9월에 국제표준화기구(ISO)가 국제환경규격(ISO 14000)을 발표한 이후부터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실현할 수 있는 산업모델로 여겨지고 있는데, 청정제조공정이 광범위하게 실시되기 위해서는 청정설계의 표준화나 청정제품의 평가모델 및 다목적 최적화 등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어야만 할 것이다.

□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는 제품의 생애를 통하여 소모되고 배출되는 에너지 및 물질의 양을 정량화하고,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환경부하를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객관적인 환경영향 평가방법으로 정의되고 있는데, 여기서는 제품의 청정도 평가에 이용되고 있는 균일평가(uniform assessment)의 단점을 분석하고, 그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료포괄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이용하는 비균일(non-uniform)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방법이 제품의 청정도를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정도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혁신의 방향도 분석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
Yinsheng Yang; Guang-Hong Lu; Xueyi Gu; Yamamoto, R.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44(4)
잡지명
Mater. Trans. (Japa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45~653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