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연구소의 효율성 평가 및 개선(Assessing and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Research Laboratories)
- 전문가 제언
-
□ 훌륭한 연구결과는 좋은 연구 환경에서 비롯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지만, 실제로 대형 연구소의 효율성과 연구 환경의 질을 평가하는 작업은 다양한 연구분야 및 연구형태가 공존하고 있고, 연구팀의 인적 구성이나 연구목표도 복잡하며 무엇보다도 과학자들의 생각을 집약해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연구시도 자체가 많지 않은 편이지만, 최근에는 연구조직내의 여러 가지 상충되는 목표들이 가지는 가치들을 하나의 입장으로 통합하여 분석할 수 있는 경합가치모델(competing values model)을 사용함으로써 과학자들의 생각이나 관점을 해석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이 연구는 미국 에너지청(DOE) 산하의 국립연구소를 대상으로 연구조직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연구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기 위해 수행한 연구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연구소의 과학자와 종사자들로 구성된 포커스그룹에서 36개의 연구조직 활성화요인들을 추출하고, 경합가치모델을 적용하여 조사․분석하고 있으며, 조사연구에는 2개 국립연구소의 4개 연구조직에 속한 1,000여명 과학자들이 참여하여 자체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를 토대로 연구조직 자체가 연구 환경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 조직의 효율성 평가에 사용되는 경합가치모델의 문제점은 실증적 연구에서 과연 4개의 모델로 구분될 수 있는지와 조직의 생애주기 중에서 어느 단계에 어떤 모델이 적용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타당성을 파악하기가 어렵고, 또한 생애주기 중의 어느 단계에 도달해 있는지도 식별해내기가 어렵다는 점에 있다. 그러나 경합가치모델은 많은 효율성 측정기준들을 4개의 모델로 축약시킴으로써 다양한 효율성 기준들을 활용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는 연구 환경 개선요인을 도출함에 있어서 실제 연구 환경에 속한 과학자들 자신의 목소리를 담아내고 있고 또한 경합가치모델을 적용한 자체평가를 통하여 과학자들 자신이 활성화방안을 도출하고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받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Jordan, G.B.; Streit, L.D.; Binkley, J.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3
- 권(호)
- 50(2)
- 잡지명
- IEEE Trans. Eng. Manage. (US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228~235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