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구적 학습의 폐해: 경영학의 경우(Whats wrong with instrumental learning? The case of business and management)
- 전문가 제언
-
□ 도구적 학습이란 학습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기타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는 학습으로 정의되고 있다. 즉, 도구적 학습을 하는 학생들은 자신들의 공부를 깊이 사랑해서가 아니라 훌륭한 직업, 높은 보수, 동료들과의 경쟁심, 부모를 기쁘게 하기 위해서 등의 외부적인 목적을 앞세워 공부하게 된다.
□ 최근에 한국 고등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이 세계 최고라고 하여 화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수학에 대한 흥미는 31위, 도구적 동기는 38위이고 이는 최하위에 가까운 수준이어서 우려할만한 실정이라고 한다. 일부에서는 우리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낮은 흥미는 오래전부터 우리 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도구적 학습의 한 단면이라고 생각하며, 또한 학생들의 도구적 학습이 극단적으로 잘못된 결과로서 나타난 것이 최근의 대입수능시험 휴대폰 부정행위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 여기서는 경영학을 중심으로 고등교육에서의 도구적 학습의 본질과 증상을 요약하고, 도구적 학습과 표현적 학습 사이의 관계를 비교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도구적 학습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도구적 학습을 불식시키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학생과 교수들이 학습과 교습에 열정을 바칠 수 있도록 학습지원, 교습 및 평가가 기존의 방식이 아닌 창조적인 새로운 방식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으며, 특히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 도구적 학습은 중요항목에 집중함으로써 기회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개인적 목적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알려주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는 오히려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학습방법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도구적 학습은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학습에 최선을 다하지 않고 상상력이 부족해지기 쉬우며 극히 수동적인 자세가 되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교육적 및 사회적 측면의 폐해가 너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자료는 비록 구체적인 것은 아니지만, 고등교육에서의 도구적 학습의 본질과 증상 및 원인과 해결책을 모두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참고할 가치가 크다고 사료된다.
- 저자
- Ottewill, R.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3
- 권(호)
- 45(4)
- 잡지명
- Educ. + Train. (UK)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89~196
- 분석자
- 김*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