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저유황화 석유정제 신공정의 과학기술(Science and technology of novel processes for deep desulfurization of oil refinery streams)

전문가 제언
□ 대기 환경개선의 관점에서 배기가스 규제와 대책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정유 및 석유화학 업계는 연료개량의 노력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향후에는 점차 비용과 효과의 관점을 동시에 추구하면서 효율적인 연료개량의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세계 각국의 추세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휘발유와 경유 등의 자동차 연료, 중유 등의 공업용 연료에 대한 규제치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한국의 정유산업도 일일 250만 배럴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국가로서 설비의 보완이나 촉매 및 공정기술의 개발·개선을 꾸준히 지속해야 한다.

□ 21세기의 자동차기술에서는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이 큰 과제의 하나로서 배출가스 저감(低減)과 연비 향상을 목표로 각종 연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이들의 개발에는 연료품질의 영향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및 향후의 엄격한 배출가스, 환경규제는 자동차의 기술개발만으로는 도달할 수 없다. 특히 라이트 나프타의 이성화는 세계적인 가솔린 품질 향상 요구에 부응하여 점점 높은 옥탄가 제품이 필요함에 따라 점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술로 공정화 되고 있다. 이성화 제품은 방향족, 벤젠, 유황, 그리고 올레핀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장차 요구되는 가솔린 규제치를 맞추기 위한 정유업자로서는 가장 이상적인 혼합 성분이다. 또한 석유 정제공정 stream으로부터 유황을 제거하는 기술은 많은 분야의 연구과제가 있다. 유황 배출이 거의 없는 연료를 생산하기 위한 새롭고 효율적인 탈황공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촉매 선정, 반응기 설계, 공정 설계 등 복합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Babich, I.V.; Moulijn, J.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82(6)
잡지명
Fue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07~631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