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모니터링 방법의 재검토 - 조사 설계(Review of environmental monitoring methods: Survey designs)
- 전문가 제언
-
□ 환경 모니터링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현상과 관련하여 생태학적 환경 모니터링의 연구 결과는 지구상 기상 예측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환경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필수적 연구 자료로 대규모 조사 방법에 관한 생태계 및 환경 모니터링에 관한 국제협의회 관련 2가지의 문헌을 추천하지 않을 수 없다.
○ Ecological Resource Monitoring: Change and Trend Detection
Edwards, D.: 1998, "Issues and themes for natural resources trend and change detection," Ecological Applications 8(2), 323~325.
○ Environmental Monitoring Surveys Over Time
Olsen, A. R. and Smith, E. P.: 1999,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surveys over time," Journal of Agricultural,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tatistics 4(4), 328~330.
□ 상기 2절에서 조사 목적 (4) 중 개개 변화(individual change)는 3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즉, 독특한 모집단 단위의 반응에서의 변화를 의미하는 총 변화(gross change), 2번 또는 그 이상의 시간 주기 동안 모집단 내 단위들을 위해서만 정의되는 평균 총 변화(averaged gross change) 및 개개의 모집단 단위들로부터의 반응의 분산을 의미하는 불안정성(instability)의 3가지 부문이다.
- 저자
- McDonald, Trent 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85(3)
- 잡지명
-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77~292
- 분석자
- 황*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