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충돌에서 최적화를 통한 비선형 역학계의 판정(Nonlinear dynamic system identification for automotive crash using optimization)
- 전문가 제언
-
□ 대부분의 문헌에서 모의실험의 계의 판정 문제는 예상값과 결과의 오류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제한 조건들을 크게 강조하지는 않는다. 특히 최적화 문제에서는 미지의 변수에 대한 경계점 정도만을 고려해준다.
□ 집중질량모형에 대한 설명에서 혼합 방법이 자동차 충돌 상황의 모의실험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나타났다.
□ 집중질량계에서 운동하는 계의 운동을 정확히 예상하려면 더 정확한 물체의 구조에 대한 기술이 필요하다. 더구나 멈춰진 상태에서의 충돌과 실제 충돌은 확연한 차이점이 있다.
□ Udwadia와 Shah의 건물에 대한 판정에서 유일하지 않은 해로부터 계산된 강도는 실제 강도와 20~30%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강도와 감쇄계수는 일정한 시간동안 선형이라고 가정했다.
□ 자동차 구조의 판정과 관련된 문헌은 희박한 편이다. 그렇기에 더 발전되어야 할 분야임이 분명하다. 특히 선형/비선형 계의 판정에만 그치지 말고 판정이 끝난 계의 재디자인 등을 위하여 이를 활용하는 최적의 방법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Kim, C.H.; Arora, J.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25(1)
- 잡지명
- Structural and Multidisciplinary Optimiz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18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