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광발전시장 발전전략(Market deployment strategies for photovoltaics: An international review)

전문가 제언
□ 본 논문은 여러 나라들에서 태양광 발전(PV)에 대한 개발 전략 및 시장 확대 전략 등에 대해 지금까지 수행해 왔거나 진행되고 있는 과제들에 대한 총설로, 이들 과제의 성과 및 특성을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 선진국들이 태양광 발전기술개발 및 보급에 있어서 오늘날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PV 산업 초기시장 창출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으로 볼 수 있다.이러한 노력으로 선진국은 이미 초기시장이 형성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지원 비중을 줄여가고 있으며, 해외 시장창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 우리나라는 1980년 후반에 대체에너지 기본법의 국회 통과로 태양광 발전에 대한 기술개발이 199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예산확보의 어려움, 기술 및 시장 확대의 어려움, 그리고 1990년대 말에 맞이한 IMF 위기 등으로 선진국과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라크 전쟁으로 시작된 화석 에너지인 원유 값이 매일 오르고 있어, 대체에너지에 대한 필요가 절실한 시점이다. 최근 정부에서는 여러 대체에너지들 중 태양광을 3대 중점과제로 선정하여 여러 가지 지원을 추진 중에 있다. 기본적으로 세계 에너지 시장의 역동적인 변화에 대응하여야 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추구하고 있는 정책은 2002년 말 현재 총 에너지 소비량의 1.4%를 차지하는 대체에너지 공급 비율을 2006년 3%, 2011년까지 5%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반도체 및 IT산업 후 차세대 산업으로 PV산업이 충분히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반도체 산업으로 이룬 인프라를 태양광 전지 셀을 제조하는 데 응용할 수 있다면, 태양전지 셀 제조설비의 초기 투자비용을 절대적으로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세계시장 석권도 가능하리라 본다. 한편 제조비용이 더 저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유기 태양광 전지에 대한 개발도 함께 아울러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Haas, Reinhard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3
권(호)
7(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71~315
분석자
원*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