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거시부착생물: Al-Jubai발전소/MSF담수공장 터빈 복수기 수실에서의 온라인 제어기술 검토(Marine macrofouling: A review of control technology in the context of an on-line experiment in the turbine condenser water box of Al-Jubail Phase-I power/MSF plants)
- 전문가 제언
-
□ 담수, 함 염수 또는 해수를 취수하는 거의 모든 냉각계통은 거시부착에 대하여 취약하다. 산업설비의 냉각수 계통은 거시 유기체의 축적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줄무늬 홍합 및 재첩은 냉각수 계통에 침투하는 가장 흔한 연체동물이다. 그 외에 홍합, 굴, 삿갓 조개, 이끼벌레, 히드로충과 적도에 가까운 지역에서는 말미잘 및 서관충 등이 있다. 이것들의 유충은 냉각계통에 진입하여 공격적으로 정착하여 냉각계통 파이프, 취수만, 스크린 등에 축적된다.
원자력발전소, 화석연료발전소, 제철소, 정유공장, 제지공장 및 도시 상수도 처리시설 등은 거시부착과 관련된 문제를 경감하기 위해 설계에서 운전 보수에 이르기 까지 포괄적 계획을 가져야 한다.
□ 해수를 직접 취수하는 대규모 시설에서는 유입물 및 부착물의 방지를 위하여 해저 취수구를 상 방향으로 하거나 염소를 주입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깨끗한 해수를 취수할 경우 관내의 생물부착의 영향을 가능한 피하기 위하여 관직경이 큰 취수배관을 고려해야 한다. 공급원수중에 미생물이 존재하면 막면에 점액필름 형태로 부착하여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막을 열화 시키거나 배관 및 전처리설비에 부착하여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살균이 필요하고 살균에는 염소 또는 차아산염소산염이 사용되나, 막 재질이 폴리아미드의 경우 염소에 의하여 화학적 산화분해 위험성이 있다. 이런 경우 살균제로서 황산동을 사용하기도 한다. 지리적 위치에 따라서 부착하는 유기체의 종류가 달라지므로 위치 및 시설에 고유한 살균방법과 거시부착 방지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 거시부착으로 산업계는 매년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의 비용을 지불한다. 이는 시설의 가동중단, 운전효율 저하, 유지보수비용, 장비 교체비용 및 부착유기체 제어에 관련된 비용 등이다. 이에 대처하는 방법은 포괄적 접근방식으로서, 냉각계통 설계에 반영, 부착제어방안 수립, 이의 효과성 감시 등이다. 이들 접근방법은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코팅, 열처리, 전기적 방법 등이 고려된다. 최상의 실제적 기술의 선택은 시설위치에 고유하고 환경조건을 만족하면서 경제적으로 투자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합리적 방법이 되어야 한다.
- 저자
- Al-Tisan, Ibrahim; Al-Daili, Mohammed; Green, Troy N.; Ba-Mardouf, Khalid; Al-Qahtani, Saeed Ali; Al-Sabai, Khalid; Abdul Azis, P.K.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154(3)
- 잡지명
- Desalin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77~290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