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조직의 지식경영: 최근 주제의 검토와 통합적 체제(Managing knowledge in organizations: An integrative framework and review of emerging themes)

전문가 제언
□ 지식의 정의에 대하여 미국의 Peter Druker는 지식이란 일하는 방법을 끊임없이 개선, 개발하거나 혁신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행위라고 하였다. 학교에서 배운 것은 체험이 뒷받침되지 않은 이론으로서 학식이며, 지식은 학식보다 훨씬 폭 넓은 개념이다. 지식은 학문적 지식, 실용적 지식 및 현장경험 지식의 3종류가 통합되어야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이 된다.

□ 지식경영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첫째 사업전략(예, 고객밀착전략, 운영효율성전략, 제품개발리더십전략 등)을 명확히 하고 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확인한다. 둘째 지식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정보기술, 지식내용(Contents)관리체계 및 지식경영활동에 대한 평가체계를 구축한다.

□ 지식창조 프로세스(Nonaka SECI모델)를 보면, 지식은 암묵지(暗黙知)와 형식지(形式知)로 구분한다. 4가지 지식변환창이 나선형으로 변하면서 지식을 창조한다. 암묵지-암묵지(Socialization, 경험지), 암묵지-형식지(Externalization, 외부화, 개념지), 형식지-형식지(Combination, 종합화, 기술지), 형식지-암묵지(Internalization, 내면화, 실천지) 등이다. 두 번째 창인 암묵지에서 형식지로 바뀌는 과정을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기피하기 때문에 기술전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보상이 뒤따라야만 가능하다.

□ 지식경영에 적합한 조직형태를 살펴보면, 지식창조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수직적 조직(관료조직, 전통적 사업부서 조직)뿐만 아니라 수평조직(팀조직, 프로젝트조직, Task Force형)으로 연결되는 Hypertext형(復層的 조직구조)이 고려되어야 한다. 세 개의 복층적 조직으로서 사업단위, 프로젝트팀 및 지식베이스가 역동적으로 연결된 조직이다. 가장 위쪽에는 제품개발 등의 창조업무, 가운데는 사업단위로서 관료조직이 효율적이고, 맨 아래쪽에는 지식기반 조직이 위치하여 양쪽 조직에서 창출된 전혀 다른 성격의 지식이 축적되고 교환되어 조직 전체에서 끊임없이 지식경영이 구현될 수 있다.
저자
Argote, Linda; McEvily, Bill; Reagans, Ray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3
권(호)
49(4)
잡지명
Manageme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571~582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