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프로젝트 지식 수확: 프로젝트 학습 방법과 성공 요소

전문가 제언
□ 한 회사나 기관이 어떤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그 팀원들은 독특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이 경험은 이 프로젝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고 반대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 때 이 경험들을 프로젝트 보고서의 일체적 부분으로 문서화함으로써 긍정적인 것은 추후 추진되는 프로젝트에 이용되어야 하고 부정적인 것은 반복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본문은 이 경험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얻은 지식을 회사 전체의 지식의 기반으로 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이 기술은 프로젝트 수행 도중에 그 진행상의 중요 시점마다 작성할 것을 권하고 있다.
- 프로젝트의 종료는 집단적인 학습의 종료를 가져온다. 프로젝트의 종료와 함께 오는 지식의 손실 위험은 조직, 특히 연구소, 제약공업, 엔지니어링이나 하이-테크 같은 지식 집약적 사업에는 심각한 문제이다. 회사가 프로젝트 학습 사이클을 완전히 이해한다면 반복되는 잘못과 너무 많은 작업량으로 인한 비용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 본문 중에서 두 가지 인상적인 것 중 하나는, 프로젝트 보고서를 작성하는 사회자를 외부의 인사로 하는 것이 더 많은 이점을 가져다준다는 점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부작용은 있다. 즉 외부 인은 모든 팀원에게 공평하지만 내부 팀원을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 인을 추천하는 이유는 나머지 팀원의 희생위에 개인적 이익을 추구할 가능성이 큰 내부인의 위험이 더 크기 때문이다.

○ 프로젝트의 사후 보고는 문서로 하며 그것은 개요나 타당성 검토 등의 요식행위 위주로 형식적으로 흘러서는 안 되고 잘못을 포함한 교훈적인 것이어야 한다. 본문은 사후 보고서의 작성을 위한 인터뷰의 참여자는 익명으로 하는 것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럼으로써 잘못이나 실수 등 부정적인 경험을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 부정적이 경험이 포함되지 않으면 보고서는 자화자찬이 되고 말기 때문이다.
- 끝으로 프로젝트 보고서에 그 프로젝트 진행 중 경험의 포함을 강조하였으나 과도한 서류작성으로 인한 업무과중과 지나친 체크리스트, 감사 등을 경계하였다. 즉, 이렇게 되면 조직이 관료화하고 경직되어 팀 구성원들의 보고서 작성의 동기가 유발되지 않기 때문이다.
저자
Schindler, Martin; Eppler, Martin J.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3
권(호)
21(3)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219~228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