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적 임피던스 단층촬영기술(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EIT): A review
- 전문가 제언
-
□ EIT는 MRI, CT 등에 비해 해상도가 현저히 낮아 아직 임상용으로는 부적절 하며, 위 기능, 폐의 장애, 심장마비 징후 발견, 유방암 진단 등에 보조적 진단수단으로 사용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EIT는 뇌파계(EEG), 심전계(ECG), 근전계(EMG) 등의 생체신호계측기술에 비해 해상도가 낮으며 신체에 미소전류를 인가시키기 때문에 안전성에 있어서도 생체 내 자발적 전기신호를 검출하는 생체신호계측기술 보다 뒤떨어진다고 판단된다. 국내 실정으로 볼 때는 EIT 보다는 EEG, ECG, EMG 같은 생체신로계측기술 개발에 투자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저자
- Brown, B.H.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3
- 권(호)
- 27(3)
- 잡지명
- Journal of Med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97~108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