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중해연안의 대기 중의 PAH의 평가돠 검토(Critical review on atmospheric PAH. Assessment of reported data in the Mediterranean basin)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 PAH는 여러 개의 벤젠 고리를 가진 방향족탄화수소로서 유기물이 불완전연소 시 발생하며, 발암물질이거나 돌연변이성을 가진 물질이다. 자동차의 배출가스에도 많이 발생하며 PM(미립자 물질)에 흡착되거나 가스 상으로 존재한다. 방향족 고리가 2~4개인 경우 기체 또는 고체에 흡착된 상태로 분포하지만 5개 이상이 되면 주로 고체에 흡착된다. 대기 중의 PAH는 O3에 의해 변화되며 NO2와 같은 물질이 존재할 때 nitro-PAHs가 생성된다.

□ 대기 중의 PAH의 소멸반응을 보면, 산화환원반응, 침전 후 생물학적 분해, 광분해반응, 입자상 물질에 흡착 및 생물체 농축 등이다. naphthaline, phenanthrene, anthrene 등의 대기 중에서의 반감기는 각각 12시간, 8시간 및 3시간으로 알려져 있다.

□ 우리나라 도시지역 대기 중의 PAH 오염실태도 산업화된 지중해연안 국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대기 중 PAH의 오염원은 다양하며 모든 탄소화물의 연소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략 다음과 같다.
(1)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산업설비나 자동차 배출가스 및 나무의 연소 등과 같은 인위적인 것이 대부분이다.
(2) 폐기물소각 시 또는 용광로, 산업시설에서의 연기와 매연
(3) 자연적 요인으로서는 화산, 산불, 원유 등이다. 인위적 오염원이 자연적 오염원보다 훨씬 많은 양을 방출하므로 방출량 저감대책은 인위적 오염원의 억제책 이외에는 실효성이 없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 향후 PAH제어 대책은 시료채취절차와 방법, 분석기술 및 검출기기 등의 표준화를 이루어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 합리적 배출규제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조사사업이 필요하고, 자동차 배기가스로부터 PAH의 배출저감을 위해 엔진기술개발, 후처리장치 장착 및 LNG와 더 나아가 수소연료와 같은 청정대체연료의 사용 등에 대한 대책이 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저자
Mastral, A.M.; Callen, M.S.; Lopez, J.M.; Murillo, R.; Garcia, T.; Navarro, M.V.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80(2)
잡지명
Fuel Processing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3~193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