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처리 및 음용수 생산용 압력-구동 막 공정의 개관
- 전문가 제언
-
□ 새로운 분리기술, 특히 물에서부터 원하지 않는 부유물질, 또는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는 막 분리 공정을 네 개의 단위조작 방법으로 나누고 그 용도와 특징 및 장단점을 정리하였다.
○ 또 용도에 따른 막의 형태, 막의 재질과 그 기공의 크기를 설명하였고 현재 연구되고 있는 특이한 재질을 막 공정에 이용하려는 노력도 소개하였다.
- 막 공정의 응용도 매립지에서 나오는 침출수의 처리, 섬유공업 등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의 처리 및 음용수 제조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 운전상에 나타날 수 있는 막의 오염 문제, 그로 인한 기공의 막힘 현상과 그 방지책을 예방과 치료로 나누어 자세히 해설하였다.
- 또 환경문제로 공업적 규모의 공정에서 원료수의 약 20%에 이르고 그 농도가 5배 내지 10배에 이르는 배척수의 폐기문제까지 제기하였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 막의 응용에서 음용수 제조에 대해 약간의 언급이 있었으나 불충분하다고 느끼는 것은 막 분리 공정의 중요한 용도라고 간주되는 “해수의 담수화”에 대한 논의가 없기 때문이다.
○ 지구상의 막대한 물 중 인간이 생활이나 경제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담수는 아직 불충분한 것은 아니나 지역적으로 편재되어 있고 인구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은 담수의 수요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세계은행은 “20세기의 국가간 분쟁의 원인이 석유라면 21세기의 분쟁은 물 때문에 일어날 것”이라고 예언하기도 했다.
- 우리나라의 물 자원 사정도 그리 좋은 형편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UN에 의하여 물 부족국가로 분류되고 있으며 앞으로 생활수준 향상과 산업의 발달은 물의 수요를 급증시킬 것이고 어쩌면 우리나라의 산업 발전의 제약이 물의 부족에서 올지도 모른다.
○ 여기에 대한 해결책은 바다에서부터 담수를 얻는 것인데 그 중 해수의 증발과 응축에 의한 해수의 담수화는 에너지 소모가 많아 우리나라 실정에 맞지 않다. 따라서 염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막을 이용하여 해수 중 담수를 얻는 방법이 우리 실정에 적합한 유일한 해결책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문에서 말하는 역삼투 막은 다른 막의 운전 압력에 비하여는 고압이나 해수 담수화의 다른 공정에 비하면 대단히 에너지 절약적이다.
- 이러한 이유에서 막 공정 기술은 21세기에 아주 중요한 첨단 기술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 저자
- Van Der Bruggen, Bart; Vandecasteele, Carlo; Van Gestel, Tim; Doyen, Wim; Leysen, Roge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22(1)
- 잡지명
- Environmental Progres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6~56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