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물의 음용수 소독과 레지오넬라균의 위험평가 및 감시에 관한 검토(A review of methodologies for potable water disinfection in buildings and a discussion of current issues regarding Legionella risk assessment and monitoring)

전문가 제언
□ 레지오넬라증은 그램음성 간균으로서 1947년에 이미 발생하였으며 1976년 미국 Philadelphia에서 재향군인회의가 열렸을 때 유행했었고 병명도 여기서 유래되었다. 레지오넬라증은 새로운 병은 아니고 호수, 연못 및 진흙 등 자연환경이나 인공적 급수설비계통에 존재하고 있다. 특히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할 인공시설로서 상수도, 온수기, 에어컨의 냉각탑, 가습기, 온천, 의료 흡입장치 및 분수 등이 유행의 원천이 된다. 인공시설에서의 레지오넬라의 생존조건을 검토하여 이 조건을 박멸조건으로 변경하고 인공시설로부터 인체로의 오염경로를 파악하여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한 조치이다.

□ 1999년 서울시내 대형건물 냉각탑수의 약 20%이상이 레지오넬라균의 검출이 보고된바 있다. 근래에는 스포츠 및 사우나시설 및 온천시설 등에 설치된 와류욕의 경우 사용하는 욕조에 공기를 집어넣는 구조로 되어 있어 레지오넬라균의 증식에 적합하며 공기방울이 분출될 때 비말의 크기가 50마이크론 이하이면 여기에 레지오넬라가 실려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온다. 우리나라는 6월부터 9월까지 냉각탑의 수온은 15~34℃이며 주로 상수도가 사용되며 배관의 물은 교환하지 않고 냉각탑의 물만 교환하므로 유기물질이 농축되어 레지오넬라균을 비롯한 미생물의 증식에 적당한 조건을 형성한다. 레지오넬라균의 최저균수는 10CFU/100ml이므로 청소 후 이 수치로 검출되었어도 이를 방치하면 이전 상태로 돌아가므로 주기적인 청소관리가 필요하다. 냉각탑의 설비는 풍향에 따라 주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으로 에어로졸이 비산하는 위치에 주거시설 또는 사람의 왕래가 빈번한 경우 설계 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

□ 상수도 및 냉각탑 등의 물을 소독하는데 여러 가지 소독약(Chloramine, Chlorine dioxide, Chorine, Ozone, Cu/Ag ionization)과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물속에서 약품의 안정성과 살균력에 대한 상대적 강도를 면밀히 검토하여 선정하어야 한다. 특히 상수도 분배지점에서 사용한 소독의 효과가 사용지점까지 지속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잔류소독이 중요한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고, 부족한 기능을 상보(相補)하는 1차 및 2차 소독을 연계하고 경제성까지 고려하는 것이 실질적 접근방향이라 판단된다.
저자
Crosby, Mark A.; Beer, William J.; Rossi, Anthony 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109(1)
잡지명
Technical and Symposium Papers Presented At the 2003 Winter Meeting of The ASHRAE ASHRAE Transaction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39~345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