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1. home
  2. 알림마당
  3. 자유게시판

5월 8일 우리 특강에 참석하였던 외부의 여성이 참가소감문을 [실버넷뉴스]에 올렸군요

작성일
2014-05-24 00:00
작성자
강*희
조회수
2458
첨부파일

                                                        
The 2nd Seminar of 2014 Seoul Plaza ReSEAT Program was held on ○○ last May in the conference room of KISTI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located in Cheongnyangiri-dong, Dongdaemun-gu, Seoul. On the recommendation of Dr. Kang (73 · the Foreign Desk of the SNN), I submitted the sign-up sheet with my cover letter to the Research Institute a week in advance to attend a special lecture series titled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 the Space Development ."

The guest speaker was Dr. Kim Doo-whan, the research professor of Aju University at present, who joins the ranks of the world's leaders in the Academic world and Aerospace Industry Development Program as the astronomy professor of the world's only Department of Space Science Measurement & Information at Aju University's graduate school. And he has consecutively filled various posts as a former chairman of Korea National Astronomical Observatory, the first director of Korea Astronomy & Space Science Institute, a chair of Specialized Committee of Space Development & the Satellite Subcommittee and the chairperson of Promotion Committee for Astronauts Producing and so on.

Despite I had a chance for a visit to the area after 30 years, the street scenes, leading to the  KIST(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assing through the third traffic lights and ○○Bridge across the street in front of Korea University, did not look unfamiliar to me. The fresh scent of the woods densely packed in the Hongneung Arboretum was preferable to a clean, well-organized urban landscape.

At the 'Meteorite' forum of Korea Science & Technology Center a few days ago, I remembered what some meteorite experts reported that only four of meteorites, exploded and dropped over Hamyang-gun on March 9, were found by several civilians in parts of Jinju City, South Gyeongsang Province. Accordingly, when I entered the lecture room, associating the topic of today's lecture with the meteorites, the hall had already been filled with about 30 people. Just then, as if they were waiting for me to come, they all greeted me, the only female attendee very cordially. As things turned out, they were all members of ‘Seoul Plaza ReSEAT Program’ a group of scientists who took part in the Utilizing and Supporting Project of Highly Experienced Scientists and Technicians of South Korea.

Contrary to my expectations, Dr. Kim delivered a lecture to the audience on the fundamental secrets regarding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with comparatively ease. Finally, he summarized the Big Bang Theory as follows. Our universe sprang into existence as 'super temperature and super dense singularity' out of nothing inside a black hole, based on Einstein’s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around 13.7 billion years ago.

After explosion, the Universe continued to expand while the temperature lowered, the density decreased and many types of matter, such as protons, neutrons and electrons began to form. Finally, galaxies and stars formed to create the Universe as we see it today. And the universe is still expanding even now, at an ever-accelerating rate. By The discovery of the cosmic background radiation, the Big Bang Theory was accepted as standards of the universe model.

While Dr. Kim was giving an account of the theory, I eventually felt my head absorbed the fundamental concepts like a sponge and my eyes sparkled like diamonds. Subsequently, his second lecture has led to 'the Space Development.' As my curiosity was aroused again, I pricked up my ears not to miss what he was say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of Institute of Astronomy is the Rocket's basic research. “But when the Institute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 was established in 1986, it did not have any facility equipment. So the researchers had no choice but to go directly to the National Defense & Science Institute to learn about the rocket technology,” Dr. Kim meditated on those days.

The launching of NARO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when it comes to national security. Thanks to the KSLV-3(Korea Space Launch Vehicle) successfully launched into outer space on 30th Jan 2013, South Korea became one of the 11th space powers. However, "in order to secure sovereignty over the space, we would need the title of superpower with the practical capability as Production Ability of Satellite, Development Capabilities of Launch Vehicle and Building of the Launching Sites for space technology that everyone can recognize,"  Dr, Kim Doo-whan finished his lecture on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 the Space Development ' with the finishing touches.

As we believe black hole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birth of the new Universe, I headed for home, expecting what today's lecture could als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birth of my 2 other life.


Silvernetnews Reporter Park, Yoon Ja yoonp87@silvernetnews.com


우주의 탄생과 우주개발

- 전 파장영역의 천문학발달로 우주 끝 관측 가능? -


지난 5월 8일 서울 플라자 리시트(ReSEAT) 프로그램의 제2회 세미나가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열렸다. 강국희 박사(73· 실버넷뉴스 국제부)의 추천으로, ‘우주의 탄생과 우주개발’에 대한 특강에 참석하기 위해 일주일 전에 자기소개서와 함께 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초청 연사는 현재 아주대학의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세계에서 유일한 학과인 아주 대학원 우주계측정보학과의 천문학 교수였고, 국립천문대장, 한국천문연구원 초대원장, 우주개발전문위원회· 위성체 소위원회 위원장, 우주인배출사업추진위원회 위원장 등 여러 요직을 두루 역임한 학계와 우주산업개발프로그램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자의 반열에 오른 인물이었다,

30년 만에 그 지역을 방문했음에도 불구하고, 고대 앞 도로 건너편에 위치한 ○○교와 세 번째 신호등을 지나 키스트(KIST)에 이르는 가두풍경은 그리 낯설지 않은 옛 모습이었다. 빼곡하게 들어찬 홍릉 수목원에서 내 품는 생긋한 숲 냄새는 깔끔하게 정비된 도시미관보다 상쾌해서 오히려 더 좋았다.

며칠 전 한국과학기술회관(KSTH)의 ‘운석 토론회’에서, 지난 3월 9일, 함양군 상공에서 폭발하여 낙하한 운석 4점이 경상남도 진주시 일대에서 민간인들에 의해서 회수되었다고 발표했던 말이 떠올랐다. 그래서 그 운석을 오늘 강의의 주제와 연결 지어 생각하면서 강의실에 들어섰을 때, 홀은 이미 30여 명이 넘는 사람들로 꽉 차 있었다. 그런데 그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유일한 여성 참가자인 나를 반갑게 맞아주었다. 나중에 안 일이지만, 그 참석자들은 모두 한국의 고경력 과학기술인 활용지원 사업에 참여한 과학인으로 구성된 ‘서울 플라자 리시트 회원들’이었다.

예상했던 것과는 반대로, 김 박사는 청중들에게 우주생성에 대한 근원적인 비밀을 비교적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서 강의를 이끌었다. 그는 '빅뱅이론'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우주는 137억 년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근거한 블랙홀 내부의 제로 상태에 있는 초고온, 초고밀도의 ‘특이점’이 폭발하여 탄생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폭발한 후에도, 계속 팽창하며 온도는 낮아지고 밀도는 감소하면서 양자와 중성자 같은 물질이 만들어졌다. 마침내 그 속에서 은하와 별들이 탄생했고 아직도 계속 가속화 비율로 팽창하고 있다. 그 후 우주배경복사의 발견으로 빅뱅 이론은 우주모형의 표준으로 인정되었다.

김 박사의 ‘빅뱅이론’을 듣는 동안, 머릿속에 기본개념이 스펀지처럼 흡수되면서, 내 눈은 보석처럼 빛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뒤이어 ‘우주개발’에 대한 강의가 이어졌다. 다시 호기심이 발동하여 그의 설명을 한마디도 놓치지 않으려고 귀를 바짝 기울였다.

그는 1986년 설립 당시 우리의 상황을 이렇게 설명했다. “천문우주연구원의 가장 중요한 업무 중 하나는 과학로켓의 기초를 연구하는 일입니다. 그러나 천문우주과학연구소는 아무런 시설 장비가 없었죠. 하는 수 없이 연구원들은 국방과학연구소로 직접 출근해서 로켓에 대한 기술을 배워야 했습니다.”

나로호 발사는 국가 안보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2013년 1월 30일, 한국의 나로 3호가 발사에 성공하여 11번째의 우주 강국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우주 주권을 확보하려면 누구나 인정하는 위성체 제작 능력, 발사체 개발능력, 및 발사장 구축과 같은 실질적인 우주기술 능력을 갖춘 우주 강국의 타이틀이 필요하다”는 설명을 끝으로 김두환 박사는 ‘우주 생성과 우주개발’의 강연을 마쳤다.

블랙홀이 새 우주의 탄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믿듯이, 오늘의 강의 역시 또 다른 내 삶의 탄생에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면서, 집으로 향했다.


실버넷뉴스 박윤자 기자 yoonp87@silvernetnews.com

댓글은 로그인하셔야 등록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과학기술인지원센터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