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이승만의 독립운동-29세 감옥에서 집필한 108년 전의 책 [독립정신] 요약
- 작성일
- 2012-08-10 00:00
- 작성자
-
강*희
- 조회수
- 2381
- 첨부파일
-
JSPC-23 이승만 박사 청년기의 독립운동
-이승만 29세에 집필한 책[독립정신]의 요점-
2012.7.20 姜國熙
kauthead@gmail.com/ www.himangnara.kr
지금부터 108년 전 청년 이승만이 7년간 감옥생활하면서 29세에 나라를 구해야 한다는 마음으로 집필한 책인데 100년 동안 출판된 책 중에 이것보다 더 귀한 책은 없을 것 같습니다. 오늘의 자랑스런 대한민국을 이해하려면 건국대통령 이승만 박사를 알아야 합니다. 이승만 박사의 독립운동실적에 비하면 김일성의 항일투쟁은 비교의 대상이 되지 못하며 위대한 대한민국의 건국공로는 오늘의 북한현실과 비교할 때 아무리 칭송하여도 부족함이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소중한 책을 가족, 경로당, 동창회에 널리 소개하고 전국의 각 지역 도서관에 비치하여 국민들의 역사학습자료로 활용하기를 바랍니다. 이 조그만 실천이 애국의 물결을 이루어 이승만 박사가 소망했던 자유통일을 앞당기는데 뭉치는 힘의 원천이 되기를 바랄뿐입니다.
대한민국의 건국대통령 이승만 박사는 오로지 나라를 위하여 태어났고 청소년기, 장년기, 노년기의 인생을 살면서 항상 나라걱정으로 정성을 쏟았던 분이다. 한-일합방에 이르기 까지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치루면서 한반도의 대한제국은 거센풍랑 위에 떠 있는 돛단배였다고 이승만 박사는 걱정하면서 관료들이 다 썩었으니 백성들이 깨어나서 나라를 지켜야 한다고 외쳤다. 이 시대 지도자들이 본 받아야 할 분이다.
일본은 조선을 침탈하기 위한 치밀한 다단계전략을 추진하지만 대항할 수 있는 준비가 부족한 조선/대한제국의 위기에 청년 이승만의 독립운동 활동을 주의 깊게 살펴 볼 수 있다.
1592년 임진왜란, 일본 풍신수길의 침략, 이순신 장군 활약
1636.12-1637.1 병자호란, 청나라의 침공으로 인조임금이 남한산성 피신, 항복
1866 병인양요-천주교 선교사 집단학살, 프랑스군함 강화도 상륙, 철수
1875.3.26 이승만, 황해도 평산군 출생, 2살 때 서울로 이사, 서당에서 동양학문에 통달함
1876.2.7 일본과 최초로 통상조약 체결 **1776.7.4미국독립기념일/ 1861-1865남북전쟁**
1879 외국의 공사로는 처음인 일본의 하나부사 하시모또가 조선주재 공사로 첫부임. 일본군이 공사관 경비담당,
1882 임오군란, 조정의 군대가 반일운동, 일본공사 피신했다가 일본군4000명 동원, 인천도착, 화친조약체결, 한성4대문 안에 일본군대 주둔수용합의
1895.10.8 명성황후 살해
1895 이승만 20세 배제학당입학, 서양학문 연마, 미국식 토론회 모임 [협성회]결성,개화운동 개시, 졸업식에서 [한국의 독립]영어연설, 참석했던 정부고관 외교사절들의 칭찬을 받음
1898 이승만 23세에 주간신문 협성회보 발간하여, 주필역할, 이 신문을 한국 최초의 일간지 [매일신문]으로 승격시켜 사장/주필이 되어 대한제국 국권침탈을 시도하는 러시아의 음모를 규탄하는 독립협회 주최 만민공동회에서 가두연설함. 한글신문 [제국신문]을 창간하여 편집/논설담당. 조선왕조의 부패가 극심하여 국운이 기울게됨을 걱정하여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제 도입을 주장하는 독립협회 17인이 체포되었을 때 대중을 이끌고 경무청/평리원(고등법원) 앞에서 철야 농성, 석방에 성공.
1899년 이승만 24세에 박영효 일파의 고종폐위음모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체포, 종신징역 언도, 한성감옥생활---청일전쟁을 기술한 중국책을 한글로 번역, 1917년 하와이에서 출판
1904년 이승만 옥중에서 29세에 [독립정신] 집필, 1910년 미국 LA에서 출판. 민영환 등의 도움으로 특별사면되어 독립보전을 미국에 호소하기 위한 고종밀사자격으로 출국, 와싱턴안착
1904.2.23 내무대신 서리 이지용-고노스께의 국가개혁지원협약
1905년 이승만 30세 와싱턴대 2학년 장학생입학, 루즈벨트 대통령 면담, 대한의 독립보전지원요청
1905.11을사보호조약체결: 박제순 외무대신-이등박문 특명전권대사, 외교권박탈
1907 이승만 32세에 조지 와싱턴대학 졸업후, 하더드대학 석사과정1910년 2월 졸업후 프린스턴대학 박사과정입학 정치학-국제법 전공, 지도교수는 우드로 윌슨 총장이며 나중에 대통령이 됨. 매우 친밀한 관계 유지
1909 간도협약, 일본이 간도를 청나라에 넘겨주는 협약
1910년7월 이승만 35세에 프린스턴대학 박사학위취득. 논문은 [미국의 영향을 받은 영세중립론]
1910.8.22한일합방: 내각총리 이완용-조선총독부 통감 데라우찌
1912.6.19 이승만 박사지도교수-우드로 윌슨(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추천서를 받아,독립운동전개
1920.12.28 이승만 박사, 상해임시정부에서 대통령 취임1925 면직당함/김재봉 조선공산당비서가 선동
====1904.6.29 이승만 박사의 독립정신 실천 6대 강령 발표====
1.우리는 세계에 대해 개방해야 한다.
2.새로운 문물을 자신과 집안과 나라를 보전하는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
3.외교를 잘 해야 한다.
4.나라의 주권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5.도덕적 의무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
6.자유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