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1. home
  2. 알림마당
  3. 자유게시판

구제역사태, 교수지식인 호소문 기자회견 보도자료

작성일
2011-03-08 00:00
작성자
강*희
조회수
2358
첨부파일
기자회견 보도자료

구제역 사태에 대한 교수지식인 호소문

● 수신 : 사회부
● 참조 : 구제역담당기자
● 제목 : <구제역 사태에 대한 교수 지식인 호소 기자회견> 취재 및 보도 협조 요청

강국회 성균관대 생명공학 명예교수 등 200여명의 교수지식인은 구제역 사태에 대하여 정책의 근본적인 전환의 필요성을 정부와 국민에 호소하는 기자회견을 가진다. 이 호소에는 환경철학회 한면희회장, 녹색평론 발행인 김종철교수, 전 서울대 보건대학원장 백도명교수, 씨알의 소리 편집장 김조년교수, 전 민주화를 위한 교수 협의회 김서중 대표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기독교 원로교수인 김경재교수, 경제학계의 원로 이대근 성균관대 명예교수, 이정덕 동국대 명예교수, 생명윤리학회의 원로 진교훈교수, 허종화 경상대 명예교수 등 다수의 학계원로 교수들이 참가한다.
현재 구제역은 향후 진정국면으로 들어가고 있으며 정부는 방역문제와 축산문제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구체적인 T/F팀을 꾸려 진행하고 있다. 정부의 방역정책 및 일부 관련학자들의 입장을 보면 청정국 지위는 포기하지만, 살처분정책을 포기하지는 않겠다고 한다. 그러나 여기에 서명한 200여명의 교수 지식인들은 일부 동물들이 구제역에 감염되었다고 하더라도 근처의 건강한 동물까지 모두 살처분하는 것은 바이러스에 대한 획득면역력 뿐만 아니라, 자연면역력을 갖춘 동물까지도 모두 없애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생물안전밀폐연구실(BSL-3 Lab)도 불과 10여개로 연구 인력이 부족한 국내실정으로 볼 때 쉽게 변종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을 제 때 개발하기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한다.
현재의 축산방식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동물의 품종개량, 사육, 운송, 도살에서 국제적인 기준에 미달함을 지적하면서, 앞으로는 선진축산국과 마찬가지로 복지축산을 추진해야 하며 그렇게하기 위해서 동물보호법 및 축산물가공처리법, 관련수의사법 등의 개정을 촉구한다. 무엇보다도 현재와 같은 밀집형 돼지농장은 바이러스 생산공장일 수 있으며, 산업형 축산으로 인해서 항생제 내성을 가진 병원성 미생물이 농가와 농장근무자뿐 아니라, 병원시설에까지 침투하고 있어 인수공통전염병의 위험을 우려하고 있다.
한편 이날 호소문발표를 뒷받침하기 위한 기자회견에서 황성남 중앙대 의과대학 교수는 살처분자체를 반대하고, 가축자체의 면역력에 기초를 둔 구제역대책의 중요성에 대해서 발제할 것이다.
한림대 정용희교수는 구체적으로 금년 1월 Scientific American 등 외국의 학술연구사례를 토대로 돼지밀집사육이 바이러스 혼합용기(mixing vessel)로서의 위험성에 대해서 소개할 것이다. 성공회대 박창길교수는 현재의 동물보호법 관련제도에 있어서 기본조사의 전무, 복지에 기초한 장기계획이 없고, 복지지침과 지수제도가 없으며 이런 동물복지 인프라를 준비하여야 할 필요성을 주장할 것이다. 또 허종화 경상대 명예교수는 정부의 삼겹살과 우유수입확대정책은 소규모 노령화된 축산농가를 말살시키고 국가의 부를 유출시키며 식품원재료의 해외의존도를 증가시키며, 공장형 밀집 축산업자와 메이져 곡물 사료회사 그리고 수입가공유통업자의 이익만 키우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농어민 관련종사자가 만족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한편 향후 구제역 사태 극복을 위한 상시적인 문제제기 기구로서 “구제역과 AI 극복을 위한 교수 지식인 연대기구”를 출범한다.

<구제역사태에 대한 교수 지식인 기자회견>
- 일시 : 2011년 3월 9일(수) 오전 11시
- 장소 : 환경재단 레이첼 카슨룸
- 주최 : 강국희 교수 등 225인.
- 순서
사회: 강국희 성균관대 명예교수.
I. 호소기자회견의 배경과 제안설명
1. 살처분방식의 정당성에 대하여: 중앙대 황성남교수
2. 바이러스용기로서의 돼지농장: 한림대 정용희교수
3. 복지축산을 위한 제도와 정책의 방향: 성공회대 박창길교수
4. 한국식품산업 원재료의 수입, 저품질, 고물가의 문제점과
정부 및 국민의 대처방안. 경상대 허종화 명예교수

II. 호소문발표 및 교수 지식인 상시대책기구 제안.

- 문의(가나다순)

강국희(성균관대) kauthead@gmail.com 010-2789-7804
박창길(성공회대) guidingdog@hanafos.com 010-6319-1430
정용희(한림대) yhchung@hallym.ac.kr 010-9072-4174
허종화(경상대) hurjw@gnu.ac.kr 010-9534-5477
황성남(중앙대) takheelk@hanmail.net 010-9975-1344


일시: 2011.3.9(수) 11시
찾아오는 길:
서울시 중구 정동 34-7 동양빌딩A동 2층 환경재단. 02-2011-4300



-----------------------------------------------------------------------------
구제역사태, 정부당국과 국민들께 드리는 호소문
이번 구제역 사태는 특수한 전문분야의 기술 관리가 잘못되어 온 국민이 걱정하는 국가 재난으로 비화된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우리는 이런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깊게 성찰하고 반성하며, 비록 가축전염병 전문가들은 아니지만 교수 지식인의 입장에서 다양한 견해들을 종합하여 연구, 분석, 검토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들을 한데 모으고 향후 대책에 대한 간절한 마음을 담아 다음과 같이 정부당국과 국민들께 호소합니다.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에게 묻습니다
구제역이 인간에게는 무해하다고 홍보하면서 왜 이렇게 엄청난 세금을 쏟아 부어 농촌경제를 마비시키면서까지 환경재앙을 야기하는 살처분을 해야 합니까? 단지, 구제역 청정국을 유지하기 위해서 입니까? 이런 중요한 정책의 결정을 위해 전문집단의 총의를 물은 적이 있습니까?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의 방제에 수조원의 국고를 쏟아 부으며 건강한 가축까지 생매장하는 준비 안 된 방역정책으로 축산기반이 무너지고 국민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전 국토는 가축 사체의 부패된 무덤으로 변해가고 그 침출수의 환경오염이 인근 주민들의 생활을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무분별한 정책으로서는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 같은 가축전염병들을 막을 수 없으며 매년 반복될 때마다 천문학적으로 늘어나는 경제적 부담과 환경오염 등의 국가적 재난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생각입니다.

청정국 유지를 위한 살처분은 즉각 중단해야
우리나라는 육류 수출보다 수입의 비중이 훨씬 크기 때문에 구제역 청정국을 유지해야할 명분과 경제적 이득이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제역 청정국 유지에 집착하여 전염병을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동물들까지 모두 죽이는 일은 즉각 중단되어야 합니다. 환경재앙은 죽인 동물들을 매몰하지 않고 소각한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소각에 드는 막대한 양의 연료, 대기오염, 소각대기중인 동물들의 부패문제 등 결국 자연의 자정능력을 벗어난 오염은 어떤 형태로든지 더 확대되어 재연되기 마련입니다. 결과적으로 이번 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 사태와 관련된 살처분 매몰정책은 엄청난 환경 피해를 가져와 현재와 같은 형태의 축산업이 지속가능한지 의문시되고 있습니다.
구제역의 경우, 성체가 된 동물에서는 감염사망율이 5% 이하로 매우 낮고 대부분 2주내에 항체가 생겨 자연치유가 된다고 합니다. 아무리 전염력이 강한 바이러스라고 하더라도 동물을 100% 감염시키지는 못합니다. 이는 동물 개체가 가지고 있는 자연면역력이 감염 후 생기는 획득면역력보다 먼저 바이러스로부터 감염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러시아, 중국, 동남아 국가들이 비록 구제역 상재국(常在國)이란 명예롭지 못한 꼬리표를 달고는 있지만 우리처럼 매몰처분하지 않고 축산업을 지켜가고 있는 것은 가축 자체의 면역력에 의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부 동물들이 감염되었다고 하여 근처에 있는 건강한 동물들까지 모두 죽이는 것은 이 바이러스에 대한 획득면역력뿐 아니라 자연면역력을 갖춘 동물들까지도 모두 없애버리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결과적으로 면역력을 갖지 못한 동물들만 남게 되어 같은 바이러스가 들어올 때마다 이러한 일은 매번 되풀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의 축산환경, 바이러스에 취약해
국내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직원들의 출퇴근 금지, 출입시 마다 샤워를 하게 하는 등, 철통같은 방역을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얼마 전에 부속농장의 돼지에게 구제역이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보아도 공기전염도 가능한 구제역이나 인플루엔자의 완전차단은 매우 어렵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일본과 달리 구제역 상재국들과 육지로 맞닿아 있고 일 년에 수백만 명에 이를 정도로 국가간 인적교류가 활발한 상황에서 아무리 방역을 철저히 한다고 하더라도 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바이러스관련 연구를 위한 생물안전밀폐연구실(BSL-3 Lab)도 불과 10여개로 연구 인력이 부족한 실정에서 끊임없이 생겨나는 변종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을 제 때 개발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바이러스에 대한 동물개체의 저항력을 높여 바이러스 감염에 대응토록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조류인플루엔자의 경우도 처음에는 닭에서 발병하고 이제는 오리까지 발병하여 매몰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는 조류인플루엔자 변종이 닭과 오리, 즉 다른 종 사이에 전이가 일어났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사례로 매우 심각한 것입니다. 우리의 축산환경이 닭, 오리, 돼지, 소 등의 근거리 사육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서로 다른 종간에 변형된 바이러스가 양산될 수 있으며 인간에게로 감염될 수 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열악한 공장식 축산환경을 개선해야
현재의 살처분에 소요될 경비를 가축사육환경 개선에 투입해야 합니다. 밀집형 돼지농장은 다양한 변형된 바이러스의 생산 공장일 수 있으며, 항생제를 많이 사용하는 산업형 축산으로 인하여 항생제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 등이 농가와 농장근무자 뿐만 아니라 병원시설에까지 침투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 밀집농장에서 부화된 오리에 비해, 실험실에서 부화하여 건강하게 길러진 오리가 상대적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저항력을 보여준 실험 사례도 있습니다.
열악한 환경에서의 집단사육은 동물들의 면역력을 극도로 약화시키기 때문에 이제는 법적, 행정적인 조치를 취해서 동물을 건강하게 관리하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동물들은 비인도적인 살처분 뿐만 아니라, 교배, 사육, 운송, 도살과정에서 국제동물기구(OIE)가 권장하는 지침에 의한 보호는 꿈도 꾸기 어렵고, 생지옥과 다름없는 생존조건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이제 가축 사료에 포함되는 항생제 종류와 용량, 성장호르몬 사용 유무, 사육환경 등에 대한 철저한 관리로 국민건강을 지키고 생명으로서의 가축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가 있어야 합니다. 이와 함께 축산농가들의 문제를 줄이기 위해 과밀사육을 소규모 친환경사육으로 전환하고 과잉 축산농가는 유기농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해주는 등,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 유기농업을 장려하는 일은 곧 생물종의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건강한 식품을 생산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지키고, 저비용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게 합니다.

생명 환경을 고려하는 산업으로 거듭나야
불행하게도 이번 구제역사태는 총체적인 정책의 실패로 결론 났습니다. 이 번 구제역사태를 통해 우리는 국지적인 정책의 실패가 국가적인 쇠망을 낳을 수도 있다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이번 사태는 경제지상주의, 무비판적 선진국 추구, 생명경시사상 등 지난 수십 년간 추구해온 한국사회의 병폐가 집결되어 빚어낸 비극이라는 지적이 있습니다. 또 “자본주의적 욕망(貪)과 수백만 생명을 땅에 묻을 만한 잔혹함(嗔), 그리고 죽을 줄 알면서도 헤어 나오지 못하는 이기심(痴)으로 자연붕괴에 일조하는 현실을 직시하여야 한다”는 질책의 소리가 높습니다.
따라서 정부당국 및 국회는 이번 사태를 방역행정의 실패로만 보고 원인분석과 대책마련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축산정책과 방역정책을 그 근본에서부터 다시 살펴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우선, 친환경 복지축산의 기본적인 내용이 없는 <동물보호법>, 인도적 도살의 내용이 전무한 <축산물가공처리법>과 <가축전염병>에 대한 규정들이 국제적인 기준에 맞게 전면 개정되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제 지혜를 모아 지속가능한 축산과 방역의 길을 찾아야 합니다. 하지만 정부의 방역 대책 및 축산업선진화 T/F 팀의 운영은 아직도 부족한 의제와 구태의연한 인사로 구성되어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한 달 정도의 짧은 시간으로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나갈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올 중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영국이 공장식 축산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서 1960년대 이후에 국가차원의 조사위원회(Brambell Committee)와 동물복지위원회(FAWC)를 설치하여 동물의 다섯 가지 자유를 보장하는 복지축산의 정책을 모색해나간 점은 본받을 만합니다. 이제 우리도 각 계 각 층이 참여하여, 도시와 농촌이 소통하고, 생명과 환경과 지역경제를 아울러 생각하는 새로운 공생의 생존방식을 찾아내야 할 때입니다.
근래 한국인에서 과체중과 비만으로 인한 심, 뇌혈관질환, 암 그리고 당뇨병 같은 각종 성인질환이 급격히 늘고 있음은 심히 우려되는 바이며 우리의 식생활이 육식위주로 급속히 서구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학교와 직장, 종교단체가 앞장서서 먹을거리 체계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가능한 한 친환경 복지축산으로 생산된 육류만을 사용하고, 선택 급식제나 주1일 채식제와 같은 다양한 대안의 도입을 권장합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우리의 식문화가 예전부터 익숙한 친환경 식문화로 탈바꿈한다면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국민건강보험비용을 절약하게 되어 국가재정 또한 윤택하게 될 것이며, 나아가 지구온난화를 극복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11년 3월 9일 강국희 등 225명.

강국희(성균관대 명예교수), 강남훈(한신대), 강내희(중앙대),강성열(호남신학대학), 강신익(인제대), 강신준(동아대), 강원돈(한신대학교), 강은엽(계원예술대 명예교수), 강인선(성공회대),강인순(경남대), 강재선(경성대),강재호(부산대), 고경만(목포대), 고병원(성공회대), 고부응(중앙대), 고창택(동국대), 고철환(서울대), 고홍석(전북대), 곽규석(해양대),곽차섭(부산대),권광식(방송대), 권득칠(루터신학교), 권진관(성공회대), 구미정(숭실대), 길영환(선문대), 김수배(충남대), 김경재(한신대 명예교수), 김광태(공주대), 김교빈(호서대), 김기석(기독교교회협의회 생명윤리위원), 김기왕(부산대), 김남이(한중대),김누리(중앙대), 김명식(진주교대), 김미란(성공회대), 김민정(조선대학교), 김보현(성공회대), 김서중(성공회대), 김석준(부산대), 김선경(서울대 보건대학원),김세균(서울대), 김성대(단국대 명예교수),김세곤(동국대), 김성한(숙명여대),김승석(울산대), 김양순(제주대),김양현(전남대),김연찬(서원대),김영(인하대),김영구(방통대),김영균(청주대),김영범(대구대),김옥경(전 청주대),김원열(한양사이버대), 김원재(인천대),김용찬(순천대), 김용호(성공회대), 김은규(성공회대), 김조년(한남대), 김종덕(경남대),김종중(조선대), 김종철(녹색평론), 김준(동?대), 김준형(경상대),김진업(성공회대), 김진호(제3시대 그리스도 연구소), 김창남(성공회대), 김철규(고려대), 김철홍(인천대),김판임(세종대), 김한성(연세대),나간채(전남대),남명진(가천의대), 노경희(충북대),노진철(경북대),문지웅(식품기술사), 민경희(충북대), 민태익(전 생명공학연구원), 박관석(목포대),박광혁(강원관광대), 박경태(성공회대), 박병기(한국교원대),박병상(인천도시생태환경연구소), 박서호(한남대), 박영근(중앙대), 박정근(대진대),박종수(강남대), 박진희(동국대), 박창길(성공회대), 박혜숙(인하대), 배경임(동국대), 백도명(서울대), 배재국(해양대),배현(목포대),백영재(동명대), 변순용(서울교대), 서관모(충북대),서영표(성공회대), 서원명(경상대),서진환(성공회대),서창원(충남대),성열관(경희대),손상목(단국대), 손준식(중앙대),송규범(서원대),송상용(한림대), 송성진(감리교 신학대학), 송주명(한신대), 신동하(덕성여대), 신병철(충북대),신승철(동국대), 신정완(성공회대), 안건훈(강원대), 양동훈(성균관대), 양해림(충남대),양희찬(전북대),오문완(울산대), 유학수(선문대),윤태웅(고려대),이금숙(성신여대),이나영(중앙대),이도흠(한양대),이동복(예술대),이대근(성균관대 명예교수), 이명호(경희대),이문근(전북대), 이범수(동아대),이봉희(전 단국대),이상수(호남대), 이상철(성공회대), 이상화(중앙대),이상훈(경북과학대),이성로(안동대), 이승배(상지대), 이승진(성공회대), 이승하(중앙대),이영진(경북과학대),이영환(성공회대),이용진(경북과학대), 이은주(한국외대), 이인재(한신대),이정덕(동국대 명예교수), 이정배(감리교신학대), 이정희(강원대),이종춘(경북과학대),이진오(부산대),이찬수(강남대),이창언(연세대), 이태화(연세대), 이화성(경기대),이효원(방송통신대), 임시룡(경북과학대),임재홍(서울장신대),임지현(한양대),임춘성(목포대),장병인(충남대),장상환(경남대),장시광(경상대),장시기(동국대),장창곡(덕성여대),장화경(성공회대), 전동열(홍익대),전미경(동국대),전형수(대국대),정경훈(아주대),정대연(제주대), 정미실(동국대),정민걸(공주대),정영일(동강대),정영철(순천대), 정원오(성공회대),정용희(한림대), 정윤승(충남대),정재현(충북대),정준(고려대),정해구(성공회대),정해만(조선대),정현모(경북과학대), 조경만(목포대), 조규성(한경대),조병은(성공회대),조승래(청주대), 조승현(방송대),조현연(성공회대), 조효제(성공회대), 조흥식(서울대), 주명철(한국교원대),주정일(전 숙명여대), 지상원(해양대),진경환(한국전통문화학교),진교훈(서울대 명예교수), 채기화(성공회대), 채수환(홍익대),채희완(부산대),최무영(서울대),최배근(건국대),최병환(대전대 명예교수),최병진(대구보건대),최상훈(서원대), 최영묵(성공회대),최영태(전남대), 최우석(성공회대), 최원규(전북대),최인숙(동국대), 최정혜(전 홍익대),최종선(강원대 의학전문대학원), 최종철(연세대),최훈(강원대), 하순애(제주대),한규석(전남대), 한기호(성균관대), 한면희(전주대),허남결(동국대), 한상권(덕성여대),한상진(울산대),한장희(강원대) 허강칠(한경대),,허석열(충북대), 허성우(성공회대), 허종화(경상대 명예교수), 홍은지(성공회대), 황상익(서울대),황성남(중앙대), 황정국(한신대)


----------------------------------------------------------------------------------
기자회견문
황성남 교수(중앙대 의과대)
인류 역사상 수많은 전염병이 창궐했지만 결코 모두 감염시키지도
못하였고 또 인류를 전멸시키지도 못했습니다.
그것은 인류를 포함한 모든 동물이 질병을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구제역도 마찬가지입니다.
전염성이 매우 높다고는 하나 사망율이 높은 질병은 아닙니다.
또한 구제역은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킨 적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예산과?인력을 투입하여?감염되지도 않았고
아직 싸워보지도 않은 동물들을 모조리 살처분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결코 옳은 방법이 아닙니다.
더우기 살처분한 동물로 인한 환경재앙까지 생각한다면 정말 어처구니 없는 일입니다.
매립대신 소각방법을 택하는 것도 역시 다른 형태의 환경재앙과 국고낭비를 초래할 것입니다.
수조원의 국고를 들여 수백만마리의 동물들을 살처분하고 얻은것이 무엇입니까?
과연 예방이 되었습니까?
이러한 방법으로는 결코 바이러스를 막을 수 없습니다.
이제는 동물 스스로 이겨낼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의사는 질병에 걸린 환자 한사람이라도 생명을 구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합니다.
가축들이 질병에 걸렸을 때 죽이는 대신 살리려는 생각이라도 해보았는지요?
치료가 어려우면 그냥 자연의 선택에 맡기라는 것입니다.
동물들은 스스로 치유하고 더 건강한 개체가 될 것입니다.



기자회견문
정용희 교수(한림대 화학과)
-돼지, 인간과 가축관련 바이러스의 혼합용기 가능성 우려

축산농가와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인하여 사회적 갈등이 커지고 그 경제적 손실도 적지 않다. 날이 따뜻해져 바이러스의 기세가 꺾이면 또 다시 우리에게 잊혀 질 가능성이 크지만 이제 그 근원적인 문제들을 면밀히 검토해볼 때이다.

인플루엔자에는 A형, B형, C형 바이러스가 있지만 그 중 인플루엔자 A형은 호흡기 전염성이 많은 종에서 크게 나타난다. 이중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는 16개의 혈구응집소(HA, hemagglutinin)와 9개의 뉴라민가수분해효소(NA, neuraminidase)로 인해 144 아종이 있으며 조류는 이들 바이러스의 저장고로 이들로부터 나타난 새로운 변종이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게 전염될 수 있다. 특히 돼지는 조류나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전염될 수 있어 포유동물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들이 부분적으로 유전자재집합(reassortment)되어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혼합용기론”이 나왔다.

1918년, 1957년 그리고 1968년에 대유행했던 유전자재집합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돼지에서 시작되었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지만 조류, 인간 그리고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전자재집합이 돼지에서 일어나 그 중 신종 돼지바이러스는 인간에게 전염되어왔다.

그 실례로 미국 돼지에서 추출한 신종 H2N3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조류 인플루엔자에서 전염되었을 가능성이 크고 1957년 H2N2 인간 대유행의 초기 사례들과 유전적으로 유사하다. 이 신종 H2N3 돼지인플루엔자는 돼지와 쥐에서 질병을 유발하고, 돼지나 족제비에 바로 전염된다. 이런 예로부터 돼지가 신종바이러스를 조류로부터 다른 포유류에 옮길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H2 바이러스는 1968년부터 포유류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그 이후에 태어난 사람은 이에 대한 면역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하다는 사실이다.

문제는 어떤 바이러스가 다음 언제 인간 대유행을 유발하지 예측할 수는 없지만 세계 어디서나 유전자재집합되어 포유류에 적응한 바이러스들이 돼지에서 인간에게로 전염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가 이종사이에 전이가 가능하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돼지들과 가금류 또한 인간과의 접촉을 막아 돼지/인간, 돼지/조류, 돼지/인간/조류 사이에서 유전자재집합으로 만들어지거나 만들어질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미국의 돼지농장에서 항생제 메티실린에 내성을 갖는 박테리아인 MRSA가 발견되고 있고 그 감염자의 코의 점막이나 피부에서 접촉하는 대상으로 감염되어 일반 병원시설까지 침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출현과 확산을 막고 항생제 내성을 갖는 박테리아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돼지 사육환경을 개선하고 감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인플루엔자 백신의 개발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1. Wenjun Ma, Robert E Kahn and Juergen A Richt, "The pig as a mixing vessel for influenza viruses: Human and veterinary implications", Journal of Molecular and Genetic Medicine, Volume 3, Number 1, January 2009, pp 158-166.

2. Helen Branswell, "Flu Factories", Scientific American, Vol 304 Issue 1, pp 46-51.

3. Tara C. Smith, Michael J. Male, Abby L. Harper, Jennifer S. Kroeger, Gregory P. Tinkler, Erin D. Moritz, Ana W. Capuano, Loreen A. Herwaldt, Daniel J. Diekem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rain ST398 Is Present in Midwestern U.S. Swine and Swine Workers", PLos ONE(www.plosone.org), January 2009, Volume 4, Issue 1, e4258.

4. F. Yu, Z. Chen, C. Liu, X. Zhang, X. Lin, S. Chi, T. Zhou, Z. Chen and X. Chen,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carrying Panton?-Valentine leukocidin genes among isolates from hospitalised patients in China"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Volume 14 Number 4, April 2008, pp 381-384.

----------------------------------------------------------------------------

기자회견문
허종화 교수(경상대 식품공학과 명예교수)
한국 식품산업 원재료의 수입, 저품질·고물가의 문제점과 정부 및 국민의 대처방안

지금 우리나라는 잘못된 축산·농수산과 환경문제 때문에 구제역과 조류독감으로 인한 대량 살처분 및 매몰로 땅과 물과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의 삼겹살과 우유 수입 확대정책은 소규모·고령화된 축산농가를 말살시키고 국가의 부를 유출시키며 식품 원재료의 해외 의존도를 더욱 증가시키며, 국내외의 공장형 밀집 축산업자와 메이저 곡물·사료회사 그리고 수입 가공 유통업자의 이익만 키우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들 사료와 수입육·유제품이 소비자인 국민 건강에 큰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사실이다.
한편 정부는 하수오니·축산분뇨(2012년부터)와 음식쓰레기(2013년부터)의 해양투기를 금지하는 정책을 세워놓고 있다. 어느 것 하나 해결될 수 없는 상태에서 정부가, 금수강산의 땅과 강 및 청정바다의 오염, 국부의 유출 그리고 농어촌 및 식품산업의 황폐화를 막을 방안을 내놓지 않은 채 엉뚱한 정책만을 고집한다면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대재앙을 국민과 식품관련업계에 안겨주게 될 것이다.
이에 관하여 구체적인 문제점을 적시하고, 다 살려낼 수 있는 해결방안을 G20국가의 국격과 녹색성장을 표방하는 정부정책과 후손에게 건강하고 아름다운 나라를 원하는 국민과 농어민·관련 종사자가 다 만족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끝>


댓글은 로그인하셔야 등록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과학기술인지원센터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