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eum 의 변천 과정
- 작성일
- 2011-01-27
- 작성자
- 김진국
- 조회수
- 2711
1.박물관의 형성
영어 단어의 "museum"은 우리는 "박물관"이라고 한다.
고대 그리스의"mouseion"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고, "뮤제이온"은 뮤제 여신의 신전으로 일종의 문화공간이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주로 교회에서 종교적 유물을 중심으로 수집활동이 있었고, 문예부흥시기에 부호나 군주들이 등장하고 수장가들이 활동하기 시작하면서 고대의 유물과 각종 예술품 전시장소가 생겨났다.
공공 박물관의 발전은 유럽의 경우는 국가의 지원과 중앙정부의 통제를 받았고, 미국의 경우는 민간차원에서 대중에게
봉사한다는 설립취지를 명시화 함으로써 소장품의 증가와 대중적인 접근이 균형있게 발전하였다.
2.과학탐구관의 출현
미국에서 "과학탐구관" 의 성격인" Science Center"는 19세기에서는 독일 뮨헨의 "독일박물관"이 영역을 박람회와 전시로 확대시켰다.1980년대 유럽에는" 과학센터"의 설립 분위가 확산되었고, 아시아의 여러나라에서 호주의 "Questcon",
필자가 방문하였던 일본의 경우 "Miraikan","싱가포르 과학센터","홍콩박물관","상해기술관"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최대
규모인 "국립과천과학관", 최근 재개장 한 "국립서울과학관" 등도 "과학탐구관"의 성격을 지향하는 것이다.
3.향후 과학관의 전망
"과학탐구관"의 특징은 전시품보다는 교육을 강조하고, 주입식 교육보다는 interactive적인 체험 활동을 추구 하여 창의적
교육, 편안하고 개방적인 공간을 제공하여 대중 교육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과학과 예술의 결합을 시도하고, 과학강연등을 통해서 대중과의 만남을 주선하는 등 기존 "과학박물관"이 하기 힘들었던 비정규 대중교육의 과학관 미래 역할에 대해 필자는 기대해 본다.
-Seoul National Science Museum-
Jin-Kook Kim ,Ph.D.
Curator
영어 단어의 "museum"은 우리는 "박물관"이라고 한다.
고대 그리스의"mouseion"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고, "뮤제이온"은 뮤제 여신의 신전으로 일종의 문화공간이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주로 교회에서 종교적 유물을 중심으로 수집활동이 있었고, 문예부흥시기에 부호나 군주들이 등장하고 수장가들이 활동하기 시작하면서 고대의 유물과 각종 예술품 전시장소가 생겨났다.
공공 박물관의 발전은 유럽의 경우는 국가의 지원과 중앙정부의 통제를 받았고, 미국의 경우는 민간차원에서 대중에게
봉사한다는 설립취지를 명시화 함으로써 소장품의 증가와 대중적인 접근이 균형있게 발전하였다.
2.과학탐구관의 출현
미국에서 "과학탐구관" 의 성격인" Science Center"는 19세기에서는 독일 뮨헨의 "독일박물관"이 영역을 박람회와 전시로 확대시켰다.1980년대 유럽에는" 과학센터"의 설립 분위가 확산되었고, 아시아의 여러나라에서 호주의 "Questcon",
필자가 방문하였던 일본의 경우 "Miraikan","싱가포르 과학센터","홍콩박물관","상해기술관"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최대
규모인 "국립과천과학관", 최근 재개장 한 "국립서울과학관" 등도 "과학탐구관"의 성격을 지향하는 것이다.
3.향후 과학관의 전망
"과학탐구관"의 특징은 전시품보다는 교육을 강조하고, 주입식 교육보다는 interactive적인 체험 활동을 추구 하여 창의적
교육, 편안하고 개방적인 공간을 제공하여 대중 교육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과학과 예술의 결합을 시도하고, 과학강연등을 통해서 대중과의 만남을 주선하는 등 기존 "과학박물관"이 하기 힘들었던 비정규 대중교육의 과학관 미래 역할에 대해 필자는 기대해 본다.
-Seoul National Science Museum-
Jin-Kook Kim ,Ph.D.
Curator
- 첨부파일
-